스페셜
"지도"(으)로 총 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 박사 2018.04.10
- 창덕궁 연경당 입구에 있는 ‘불로문’을 구경하는 호킹 학자에게 행운은 알맞은 지도교수를 택하는 것으로부터 찾아온다. 나는 그가 이런 우연한 행운을 대단한 기회로 만들었다는 점을 매우 높게 산다. 그의 아이디어는 기발했다. 펜로즈의 블랙홀 특이점은 태초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시간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2018.04.03
- 감독의 인터뷰도 실렸다. 김도연 선수는 지난해 초 강원도청에서 K-water로 옮겨 김 감독의 지도를 받으면서 급성장했다. 동아마라톤 여자 엘리트 부문에서 우승하며 21년만에 한국기록을 경신한 김도연(25·K-water) 가 결승선을 통과하고 있다 - 사진 동아일보 제공 김 감독은 일본의 마라톤 명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2018.03.20
- 정제된다는 게 불안요소다. 리튬(위)과 코발트(아래)의 국제무역 현황을 보여주는 지도로 연결선의 빨간색 끝이 수출국, 녹색 끝이 수입국이다. 리튬은 칠레와 아르헨티나, 미국, 한국, 중국, 일본 등 여러 나라로 분산돼 있는 반면 코발트는 콩고와 중국 두 나라가 40%를 차지하고 있다. 콩고에서 ... ...
- 별이 되어 떠난 스티븐 호킹…과학자들이 기억하는 그의 삶2018.03.15
- 년 가을과 2000년 여름 두 차례 찾아 대중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강연을 한 게 전부다. 그가 지도한 학생 중에 한국인 제자는 없었다. 하지만 많은 한국 학자가 그와 대화하거나 그를 학회에서 만난 기억을 강렬하게 추억했다. 그는 6년 전 런던 패럴림픽의 개막식에 등장해 “우리는 모두 다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2018.03.14
- 그 대안으로 1962년 케임브리지대에 진학했다. 당시 저명한 천문학자였던 프레드 호일을 지도교수로 삼고 싶었으나 받아주지 않아 데니스 시아마 교수 밑에서 연구를 시작했다. 당시 현대 물리학의 양 축인 상대성이론과 양자이론은 대조적인 입장에 있었다. 즉 상대성이론은 1930년대에서 한 ... ...
- [표지로 읽는 과학] 장내미생물이 피부암 치료에 도움 준다동아사이언스 l2018.01.07
- 단 한 마리만 종양이 느리게 성장하고 나머지 두 마리는 빠르게 성장했다. 이번 연구를 지도한 토마스 가예프스키 교수는 “이번 결과는 미생물이 종양에 대한 면역 반응을 이끌어 내는 주요 요인이라는 것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향후 연구팀은 비피더스 균 같은 생균제가 면역 치료를 촉진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2017.11.29
- 사실을 발견했다. 반면 나이가 든다고 증가하는 건 아니었다. 즉 아인슈타인은 죽을 때까지도 머리를 많이 썼기 때문에 교세포가 많았다는 얘기다. 지능이 높은 사람들의 뇌의 네트워크 패턴이 다르다는 이번 연구결과를 보며 똑똑함은 타고난 것 보다는 평소 꾸준히 머리를 쓴 결과가 아닌가 하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2017.10.10
- 어차피 드레버는 시상식에 오지 못 할 것이고 어쩌면 자신의 수상 사실도 인식하지 못할지도 모른다. (실제 시험관아기 연구로 2010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단독 수상한 로버트 에드워즈는 당시 85세로 치매가 심해 시상식에 참석하지 못했고 아내가 대신 수상했다. 2008년에 찍은 그가 활짝 웃고 있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2017.09.19
- 제시했다. 일본에서 치사율이 높은 건 E형의 추가변이로 병원성이 커진 게 이유일지도 모른다. 제주도 환자와 그 외 지역의 환자 사이에 증세에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다. 이 바이러스의 기원이 40여 년 전으로 추정됨에도 환자가 보고된 게 불과 10여 년 전인 이유에 대해서 저자들은 세 가지 가능성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2017.09.12
- 한다. 20세기 들어서는 유전학자들도 뛰어들어 1910년대까지만 해도 나팔꽃의 염색체 지도가 식물로는 세계에서 가장 앞서는 수준이었다. 지금도 나팔꽃은 원예식물의 모델로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연구자들은 지난 수년 사이 대유행하고 있는 3세대 게놈편집기술인 크리스퍼/캐스9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