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형
부문
타입
양식
형식
품종
장르
스페셜
"
종류
"(으)로 총 1,053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신 업데이트] 논란의 러시아 코로나 백신 임상 1/2상 결과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9.06
26형 아데노바이러스를 함께 쓰는 혼합 벡터를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연구팀은 두
종류
의 벡터를 하나씩만 썼을 때와 두 종을 모두 썼을 때의 차이를 중점적으로 시험했다. 먼저 각 그룹의 참여자를 3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9명)에게는 26형 아데노바이러스로 만든 벡터를, 다른 9명에게는 5형 ... ...
스테로이드 약물 코로나19 중증 환자에 효과…WHO도 '권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분석은 덱사메타손과 하이드로코르티손, 메틸프레드니솔론 등 3
종류
의 스테로이드 약물 중 하나를 택해 투여한 환자의 28일간 사망률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메타 분석에 따르면 스테로이드 약물을 투여받은 환자의 사망률은 20%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다. ... ...
지속 기간 논란 코로나19 항체, 4개월까지는 유지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돌기나 껍질 등 다양한 부위의 단백질 조각을 인식하는 항체를 표적으로 하는 검사 네
종류
였다. 여기에는 코로나19 확진에 쓰이는 유전자증폭검사(qPCR)을 이용해 1237명으로부터 받은 검체 2102개와 자가격리자 4222명, 그리고 감염 여부를 알지 못하는 미검사자 2만3452명 등이 포함됐다. 연구 결과 ... ...
잊을 만하면 제기되는 '변종 코로나' 등장...과학계 "아직 단정 일러"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흔히 변종은 코로나19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의 차이만큼이나 완전히 ‘다른’
종류
의 바이러스로 양상이 바뀌는 것을 일컫는다. 반면 변이는 바이러스의 수만 개 유전물질 중 한두 개가 달라졌지만 병의 양상 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말한다. 과학계는 코로나19의 일부 변이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립선 줄기세포의 분화능력 어떻게 조절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8.30
기저세포로 발달한다. 하지만 성인이 되면 이런 과정들이 멈추게 된다. 줄기세포가 여러
종류
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선 조직에 종양 유전자가 발현되는 등 조직에 손상을 입거나 염증이 생기면 줄기세포는 다시금 분화 능력을 되찾는다. 관강세포와 ... ...
사랑제일교회 등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는 모두 'GH그룹'…이태원클럽 때부터 주로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20.08.26
2)의 게놈 염기서열 가운데 9개를 ‘마커(표지)’라는 표준 기준으로 삼아 이 염기서열의
종류
조합을 바탕으로 현재까지의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6개 큰 계통으로 분류하고 있다. 정 본부장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4월 초까지 S와 V 그룹이 유행하다가 이후에 G, GR, GH 그룹이 유행하고 있다. ... ...
유기반도체 물질 '익센' 79년만에 첫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8.26
속에 자유롭게 움직이는 전자를 갖고 있다. 1941년 처음 구조가 제안된 익센도 PAHs의 한
종류
다. 연구팀은 다이아세틸렌 분자에 이중 고리화 반응을 일으켜 우선 중간물질을 만들었다. 이후 팔라듐 촉매를 써 일으킨 ‘탄소-수소 아릴화 반응’을 이용해 익센을 합성했다. 아릴화 반응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줌의 재발견
2020.08.25
오줌 속에는 이 밖에도 수많은 대사산물이 들어있는데, 어떤 음식을 먹었느냐에 따라
종류
와 상대적인 양이 다르다. 예를 들어 술을 먹은 날 소변에는 에탄올과 함께 그 대사산물인 에틸글루커로나이드(ethyl glucuronide)와 아세톤이 들어있다. 소변에 들어있는 음식 대사산물로는 각종 아미노산과 ... ...
[팩트체크] 긴 장마 끝나고 폭염?..."2018년만큼은 아닐 것"
과학동아
l
2020.08.22
가장 우세하게 부는 바람)으로 알려져 있다. 제트는 바람이 부는 높이에 따라 두
종류
로 나뉜다. 상층 제트는 북위 30~50도 지역에서 생기며, 약 10km 상공에서 지표면과의 온도 차에 의해 발생한다. 겨울보다 수직 온도 차가 큰 여름에 상층 제트의 속도가 더 빠르다. 속도는 시속 100~200km로 다양하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와인 나라의 와인 과학자(19세기 생물학1)
2020.08.20
와인을 조사한 결과 정상적으로 발효된 와인과 산패된 와인 속에서 서로 다른
종류
의 미생물을 확인했다. 이로부터 파스퇴르는 특정 미생물이 발효나 산패의 원인이라 결론지었다. 특히 포도를 술로 발효하는 원인이 되는 미생물이 효모임을 확인했다. 효모가 포도 속의 당분을 먹고 산소 없이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