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스페셜
"
실험실
"(으)로 총 609건 검색되었습니다.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IBM에 적을 두면서 세이어는 결정학 연구도 병행했는데 1972~73년 안식년을 호지킨의
실험실
에서 보냈다. 이때 아내 앤은 비운의 결정학자 로절린드 프랭클린의 전기 ‘Rosalind Franklin and DNA’를 집필했다(1975년 출간). 1970년대 세이어는 X선 현미경으로 관심을 돌렸고 IBM의 나노기술을 이용해 연구를 ... ...
과학수사도 ‘콘트롤 타워’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3.31
과학수사
실험실
을 상정한 이미지 사진. 국내 과학수사 기법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관련 기술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법과학’ 분야는 선진국에 비해 미진하다는 지적이 많다. 과학동아 제공. 3월 27일 서울 강남구 팔레스호텔에서는 ‘과학수사’의 발전방향에 대한,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 ...
“환자를 우선한 연구가 상업화도 빠르게 만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2.09.10
” 미국에서 면역학을 공부하면서 박 교수는 자신이 환자를 만나는 것만큼이나
실험실
에서 연구하는 것과 잘 맞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더군다나 어릴 때 앓았던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면역과 관계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연구에 재미도 붙었다. 그는 의사 중에도 연구와 적성이 맞는 ... ...
“교육 선진화도 못하면서 바이오선진화 꿈도 꾸지마라”
동아사이언스
l
2012.08.28
유럽 등 선진국과 격차도 있다”며 “최근에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들 수 있는 한국
실험실
도 많아졌고 논문도 늘어나 충분히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광수 교수의 ‘이것만은 꼭!’ △우수 인재를 생명공학자로 키울 사회적 분위기 필요 △의사와 생명공학자 뿐 아니라 다양한 ... ...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7.03
정책을 세워야 한다는 의견이 큰 공감을 얻었다. 김용환 박사는 “록펠러대에 있는 우리
실험실
만 해도 ‘판코니 아네미아’ 환자 샘플이 발병 원인별로 구분돼 1200개 정도 임상 샘플로 구축돼 있는 것처럼 미국이나 유럽은 오래 전부터 축적한 정보가 많다”며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인프라를 ... ...
생명공학 발전은 ‘네트워크’에서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2.03.07
주장했다. 그는 “연구자들의 환경을 잘 알고 있는 과학자들이 사회 곳곳으로 진출하면
실험실
과 정책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양은경 단장의 ‘이것만은 꼭!’ △생명공학 연구 위한 폭넓은 네트워크 구축 △장기간 연구를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필요 ... ...
“바이오 연구, 재구조화로 산업적 성과 이끌어 내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마치며 바이오 분야 논문 세계 11위라는 성적표를 내놓았다. 올해부터 시작할 2단계에는
실험실
의 연구를 실제 산업으로 잇는 노력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기초원천 연구가 많았지만 산업화로 이어지지 않은 데는 소위 ‘소통’이 문제였습니다. 기초원천 연구에서 쓰는 용어와 산업화 쪽에서 ... ...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1.12.13
같다. 예를 들어 암 유전자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암 조직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실험실
연구자가 당장에 암 조직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 인체 조직을 몇 개나 사용해 실험했느냐에 따라 논문 신뢰도도 좌우된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바이오뱅크. 이 때문에 선진국은 바이오뱅크를 만들어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8
두 번째 단계로 넘어가 최대 3년간 지원받는다. 박 회장은 “교수 임용 뒤 자신만의
실험실
을 꾸릴 때 처음 몇 해는 시스템을 갖추느라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게 된다”며 “이 시기를 순조롭게 출발할 수 있게 재정 부담을 덜어줘 연구에 더욱 몰입하도록 도와주는 제도”라고 설명했다. ●“재미 ... ...
“바이오연구 지원 ‘그랜트’ 형식해야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11.05.11
성과 위주의 기초개발 연구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지원 방식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 △
실험실
연구가 산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가 제도와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연구를 지원하는 정부 부처간의 협력과 대화, 소통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영식 교수는 - 1973년~1977년 서울대학교 화학과 학사 - 1 ... ...
이전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