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윤
삼출
관통
침탄
침입
삼투
잠입
뉴스
"
침투
"(으)로 총 919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백신 첫 임상시험 미국에서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0.03.17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경우, 인체 세포 표면 단백질인 ACE2에 결합해 세포에
침투
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생산하는 mRNA가 많이 연구되고 있다. 이번 백신 역시 스파이크 단백질 조각을 항체로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mRNA 서열을 찾아 제조했다. 이번 백신은 NIAID의 백신 연구팀과 미국 ... ...
'코로나19 환자는 이부프로펜 피해야' 프랑스 복지부 장관 말에 세계 들썩
동아사이언스
l
2020.03.15
결합한 뒤 세포 내에
침투
해 증식하는데, 이 과정의 ‘관문’ 역할을 하는 ACE2가 늘어나
침투
및 증식 기회도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11일 의학학술지 ‘랜싯 호흡기의학’에 발표된 논문이 대표적이다. 마이클 로스 스위스 바젤대 의대 교수팀은 이부프로펜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인체 세포에 ... ...
IBS RNA연구단 "코로나19 바이러스 증식 원리 연구중"
동아사이언스
l
2020.03.13
올해 6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IBS는 이를 통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인체 세포에
침투
한 뒤 RNA를 생산하는 과정을 밝혀 치료제 개발 등에 응용할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정병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13일 오전 서울 관악구 서울대에 위치한 RNA연구단을 방문해 “지금의 위기를 ... ...
코로나19 바이러스 구조 점점 자세히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1
이용해 형성한 다클론항체를 이용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인체 세포
침투
를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 7일 '셀'에 연구 결과를 발표한 독일(왼쪽)과 미국 연구팀의 연구 성과를 정리한 그림이다. 둘 다 사스와 코로나19의 특성이 비슷하며 특히 인체 세포의 ACE2와 잘 결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 ...
[인간·공감·AI]①신종 감염병의 시대, AI가 데이터를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1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었다. AI가 보건과 의학, 생명과학 분야에 깊이
침투
한 사례다. 남호정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와 이현주 AI대학원 교수의 연구실 풍경이다. AI 기술이 활발히 발달하면서 일상 곳곳의 풍경을 크게 바꾸고 있다. 그 가운데 가장 큰 변화를 겪고 있는 분야 중 ... ...
[강석기의 과학카페]여성이 더 오래 사는 이유
2020.03.10
수 있다고 제안했다. 코로나19바이러스는 세포 표면의ACE2 단백질에 달라붙어 안으로
침투
한다. 그런데 ACE2 유전자가 X염색체에 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가 잘 달라붙는 유전형(S형이라고 부르자)의 비율이 10%라고 가정하면 남성의 10%는 코로나19에 쉽게 감염되고 체내 바이러스 수치가 빠르게 올라갈 ... ...
"HIV·암 환자 모두에게 희망되고 싶어" 사상 두 번째 HIV 완치 환자 애덤 카스티예호
동아사이언스
l
2020.03.10
골수이식 뒤 그의 면역세포는 모두 문고리가 사라졌고, HIV 바이러스는 더이상 세포에
침투
해 증식할 수 없었다. 수술 뒤 체내 HIV 수는 급격히 줄어들었고, 1년 뒤인 2017년 10월부터는 항바이러스제 투여도 중단했다. 항바이러스제를 쓰지 않아도 바이러스가 검출 되지 않았다. 수술 뒤 약 3년 뒤인 ... ...
‘가짜 먹이’로 바이러스 속여 증식 막고… 세포 침입 원천봉쇄
2020.03.07
중요한 기능을 한다. 세포의 특정 단백질을 인지해 결합하며, 이 과정에서 세포 내부로
침투
할 수 있게 준비가 되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이 과정을 차단하기 위해 코로나19만이 가진 독특한 스파이크 단백질 구조를 연구 중이다. 프랑스국립과학연구센터 연구팀은 2월 코로나19에만 존재하는 독특한 ... ...
코로나19 치료법 중국 연구팀에 인하대 교수 참여
연합뉴스
l
2020.03.04
염증 반응이 줄었고 면역세포 기능도 향상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인체가 외부에서
침투
한 바이러스에 대항하기 위해 면역물질인 사이토카인을 과다하게 분비하는 현상을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이라고 하는데 코로나19 감염 이후 생기는 사이토카인 폭풍이 폐를 망가뜨리고 다른 ... ...
코로나19 치료할 항체 후보 3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04
세포에
침투
한 다음 증식한다. 중화항체들은 이 스파이크 단백질에 결합해 바이러스의
침투
능력을 없앤다. 이 중화항체를 활용하면 치료제와 백신을 개발할 수 있다. 연구팀은 기존 논문에서 단백질 구조를 공개한 사스 중화항체 5종과 메르스 항체 6종을 대상으로 스파이크 단백질에 결합하는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