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제
이야깃거리
화젯거리
말거리
뉴스
"
이야기거리
"(으)로 총 632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디터칼럼] 방사능보다 무서운 붕어빵 반죽
동아사이언스
l
2014.01.14
‘小貪大失’ 세상을 살다보면 작은 것을 탐내다 큰 것을 잃고 후회하는 경우가 많다. 개개인의 삶에서 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도 마찬가지다. 정부 정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앞에 두어야 할 것이 바로 국민의 신뢰다. 국민의 신뢰가 땅에 떨어진 뒤에는 아무리 좋은 정책을 내 ... ...
역사를 바꾼 철도의 자기 고백
동아사이언스
l
2014.01.12
반니 제공 ◆ 퀀텀스토리 (짐 배것 著, 반니 刊) ‘양자역학’은 상대성이론과 함께 20세기 과학사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발견이지만, 고전역학 개념과 상반되는 부분이 많아 전공자가 아니면 과학자들도 고개를 절레절레 젓는다. 물성물리학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물리학 발전에 공 ... ...
[우먼 동아일보] 이번 방학엔 꼭 해봐야지 7
동아닷컴
l
2014.01.08
[동아닷컴] 춥다고 집 안에서 꼼지락거리다 하루를 허비하지 말고 밖으로 나가자. 영원한 추억으로 남을 볼거리와 체험거리가 가득하다. 아이와 엄마만 보내고 슬그머니 뒤로 빠지는 아빠들도 이번엔 꼭 참여해보시라. 1. 공연도 보고 떡볶이도 먹고 ‘고추장 떡볶이’는 2008년 초연 당시 대한민국 ... ...
2014년에는 어떤 우주쇼가 찾아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31
세기의 대혜성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아이손 혜성이 태양에 너무 바짝 다가갔다가 쪼개져 사라진지도 제법 많은 시간이 지났다. 혹시 그 잔해라도 남아 있을까 하는 마지막 희망을 가지고 12월 18일에 허블우주망원경은 아이손 혜성이 있어야 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결과는 예상했던 대 ... ...
동화의 재구성, ‘빨간 모자’와 ‘해님달님’
동아사이언스
l
2013.12.09
‘신데렐라’와 ‘콩쥐팥쥐’. 지금처럼 실시간으로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를 알 수 있기는커녕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대의 존재조차도 몰랐을 시절부터 전해져 내려왔을 유럽의 동화 ‘신데렐라’와 우리나라의 동화 ‘콩쥐밭쥐’는 이야기의 구성이 놀라울 정도로 비슷하다. 계모 구박에 파티( ... ...
아이손을 만나는 마지막 기회, 그 비밀은 쌍곡선!
수학동아
l
2013.11.29
금세기 가장 밝은 혜성으로 손꼽히며 집중 관심을 받고 있는 아이손 혜성이 29일 오전 3시 48분쯤, 태양과 가장 가까운 지점을 통과한다. 이때 아이손 혜성은 태양 표면으로부터 약 116만 8천km 떨어진 지점을 통과하는데, 이는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인 38만km의 3배에 해당한다. NASA 제공 아이손 혜성 ... ...
발굴의 한 획을 그은 천마총
동아사이언스
l
2013.11.27
천마총 - 이종호 박사 제공 황남대총과 함께 반드시 방문해야 할 곳은 천마총이다. 경주의 고분공원인 대릉원(大陵苑)에서 관람객이 무덤 내부 안으로 들어가 내부의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한 무덤이 바로 천마총(天馬塚)으로 천마총은 심야에도 내부를 개봉한다. 1971년 6월 평소 경주에 대한 강한 ... ...
이상형도 아닌데 왜 그 사람에게 끌리지?
동아사이언스
l
2013.11.17
Yes24 제공 ◆친절한 과학책(이동환 著, 꿈결 刊) “이상형과 결혼한 사람은 몇이나 될까?” 많은 청춘 남녀들은 저마다 꿈꾸는 이상형이 있다. 그런데 간혹 이상형과는 거리가 먼 사람에게 끌리는 경험을 하기도 한다. 이유가 뭘까. 사람들이 정작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시각보다 후각에 의존 ... ...
[채널A] 장애인들을 위하여…‘따뜻한 기술’로 희망 선물
채널A
l
2013.11.03
[앵커멘트] 장애인들도 비장애인처럼 큰 불편없이 일상적인 일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머지 않았습니다. 장애인들을 돕기 위한 이른바 따뜻한 기술이 속속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영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점자가 움직이는 시각장애인용 키보드. 다리가 불편한 사람도 편리하게 모여 이야기할 수 ... ...
[新 여성시대]2부 전문직여성 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3.10.29
[동아일보] 김빛내리 교수 “출산후 과학 포기, 사법고시 생각도 했었다” 우리나라에서 여성이 과학자로 인정받은 경우는 1976년 대한민국학술원 최초의 여성회원이 된 김삼순 박사(농학)가 처음이다. 과학 종주국으로 불리는 영국과 프랑스 과학계에서도 여성을 회원으로 마지못해 받아들인 게 100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