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58건 검색되었습니다.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
과학동아
l
2016.11.28
수분이 바깥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공기가 부족해지면서 결국 부패를 돕는 호기성
박테리아
가 활동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시체의 체지방은 수분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녹다 만 버터처럼 물컹거리고 미끈미끈한 시랍(Adipocere)으로 변형되기도 한다. 시랍은 주변 환경의 영향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
2016.11.28
것이다. 참고로 땀은 이
박테리아
의 활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발에 땀이 나는 건
박테리아
의 입장에서 밥을 먹을 때 목이 막히지 말라고 물을 갖다 주는 셈이다. 상황(맥락)에 따라 냄새 지각은 크게 흔들리지만 비강의 후각수용체는 제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는 말이다. ※ 필자소개 ... ...
초기 지구를 데운 건 메탄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6.11.20
스테파니아 올슨 연구원은 “과거 기후 모델은 대부분의 메탄가스가 바닷속
박테리아
의 활동으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무시했다”며 “암석이 깨지면서 강과 바다로 흘러든 황산염 성분 때문에 메탄가스가 덜 생성되거나, 생성되더라도 황산염과 반응해 가라앉으면서 대기 중으로 나가지 못했을 ... ...
집에서 간편하게 리코타치즈 만들기!
과학동아
l
2016.10.23
들어 있답니다. 치즈 표면을 삭혀 얼룩덜룩한 무늬를 내기도 하지요. 하지만 브레비
박테리아
보다 더욱 진하고 특이한 풍미를 내는 주인공이 있어요. 바로 곰팡이에요! 자르지 않은 이 치즈들의 겉표면에는 마치 바위에 이끼가 낀 듯이 곰팡이가 피어 있어요. 항생제를 만들기도 하는 페니실륨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이해하려면 먼저 광합성 메커니즘을 밝힌 멜빈 캘빈의 연구방법론을 알아야한다. 시아노
박테리아
와 녹조류, 식물이 도대체 어떻게 빛의 도움을 받아 이산화탄소와 물로 포도당을 만드는지 궁금했던 캘빈은 1950년대 녹조류를 대상으로 ‘방사성원소표지법’이라는 기발한 방법을 써서 그 과정을 ... ...
韓 고교생, 식량문제 해결법 제시해 국제과학대회 3등상
2016.10.12
서 양과 홍 군 팀은 상금 3500유로(약 434만 원)를 받았다. 청심국제고 팀은 호염(好鹽)성
박테리아
를 이용해 바닷물로도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 미래 식량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두 학생은 올해 1월 열린 ‘제13회 한국과학기술지원단(KSEF) ... ...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덜 만들고 부탄올은 더 만들게 유도하기도 했다. 또 클로스트리디움속(屬)의 다른 종
박테리아
를 대상으로 연구를 넓히기도 했다. 오늘날 대사공학 연구에서 가장 앞서가는 곳 가운데 하나가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부 이상엽 교수팀으로 특히 바이오부탄올이 두드러진다. 이 교수팀과 GS칼텍스 ... ...
[2016 노벨 화학상]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 기계’
동아사이언스
l
2016.10.05
생긴 분자 집합체인
박테리아
의 편모를 예로 들었다. 여러 가닥의 편모가 회전하면
박테리아
는 앞으로 나아간다. 하지만 거대한 손을 가진 인간이 전자 현미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이처럼 작은 기계를 어떻게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풀리지 않았다. 실제로 파인만은 작은 기계를 ... ...
인간에게 치명적인 고양이 할큄병?
2016.09.29
애완용보다는 야생의 고양이일 확률이 높다는 것이지요. 집에서 키우는 고양이들이 이
박테리아
에 감염되었을 확률은 극히 적다고 합니다. 다만 조심할 필요는 있을 텐데요. 이와 관련한 주의사항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고양이가 공격적으로 할퀴거나 깨물 정도로 강도를 세게 하며 ... ...
NASA가 중대발표란 이름의 ‘낚시’를 하는 이유
2016.09.27
하겠다고 예고했는데, 막상 발표 당일엔 ‘독성물질인 비소(As)를 이용해 생존하는 신종
박테리아
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마저 곧 진위논란에 휩싸였고, 연구결과를 반박하는 논문이 뒤를 이었다. 이런 사례는 여러 차례 반복됐다. 2012년에는 ‘역사책에 남을 만한 발견을 했다’고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