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하
해저
뉴스
"
바다속
"(으)로 총 806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닷새가 물고기 잡으며 다이빙해도 죽지 않는 이유
2016.10.09
부비새가 물속에 다이빙하는 과정을 고속카메라로 촬영한 모습. 부리를 수면에 수직으로 세우고 목 근육을 재빨리 수축해 머리와 목뼈가 다치지 않도록 보호한다. -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제공 부비새 같은 바닷새들은 물고기를 잡기 위해 수면 위를 날다 재빠르게 물속으로 다이빙한다. 시속 약 ... ...
여드름 피부 가지는 사람, 더 천천히 늙는다
2016.10.04
사춘기 시절 여드름으로 스트레스 받았던 성인 분들, 혹은 현재 받고 있는 청소년 여러분들의 귀가 솔깃해지는 소식 하나가 바다 건너 영국에서 건너왔습니다. 최근 영국 킹스칼리지 런던의 연구진은 여드름 피부였던 사람들의 텔로미어(Telomere) 길이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훨씬 더 길다는 연구 ... ...
한국 판 경계면 아니라 다행? ‘불의 고리’ 밖 지진피해 더 컸다
2016.09.30
1976년 중국 허베이 성 탕산에서 규모 7.5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당시 공업도시인 탕산은 쑥대밭이 됐다. 정부 공식 발표로 사망자만 24만3000명. 미국이나 유럽 등에서는 65만5000명 이상이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했다. 80만 명에 이르는 부상자가 발생했고 주택의 94%가 붕괴했다. 탕산지진은 20 ... ...
동물 위에 밀렵꾼, 밀렵꾼 위에 ‘동물로봇’
과학동아
l
2016.09.30
미국 커스텀로보틱와일드라이프사가 개발한 엘크 로봇. 머리와 꼬리 등을 무선으로 움직일 수 있다. - 휴메인소사이어티 제공 밀렵꾼이 단속원의 눈을 피해 어두운 숲으로 살금살금 숨어들었다. 목표는 큰 뿔을 가진 사슴. 한가롭게 꼬리를 움직이며 서 있는 사슴을 50m 거리에서 쏴 명중시켰다. 하 ... ...
상어가 뿜은 ‘노란 폭탄’ 화제
2016.09.30
팝뉴스 제공 거대하다. 위풍당당하다. 무섭다. 백상아리가 서서히 다가온다. 철장 속의 사람들은 이 상어를 기다라며 긴장을 하고 있다. 상어가 근접한 순간 노란 물질이 주변을 물들인다. 갑작스런 상황이다. 사람들이 당황해한다. 이건 무슨 상황일까. 상어가 배변을 한 것이다. 노란 배변 폭탄 ... ...
오징어 잡아먹는 오징어
2016.09.28
팝뉴스 제공 위 사진은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비영리해양생물연구기관 MBARI이 공개한 것입니다. 오징어가 오징어를 사냥하는 모습이 담겼습니다. 23일 미국 과학매체 라이브사이언스의 보도에 따르면, 오징어 세계의 ‘카니발리즘(동족사냥습성)’은 연구자들이 20년 동안 무선조종잠수함을 이 ... ...
바다 풍경이 압권이 저택들
2016.09.28
팝뉴스 제공 파란 바다가 그림 같다. 파도가 액자 속에서 일렁이는 것처럼 보인다. 햇살이 내려앉는 바다를 보고 있으면 깊은 고민과 슬픔도 모두 잊을 수 있지 않을까.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바다 조망을 가진 집들이다. 미국의 주택 관련 인터넷 매체 ‘커브드’가 선정했다. 맨 위는 서부 ... ...
[고성 화진포호] 화진포호, 순환점에 서다
2016.09.22
혈액순환이 잘돼야 몸이 건강해지듯 석호 역시 마찬가지다. 물순환이 잘돼야 건강하게 보존될 수 있다. 석호 중 가장 규모가 큰 화진포호는 염분농도가 높은 전형적인 기수호다. 해수와 담수가 공존하는 석호로 이는 곧 물순환이 잘 되고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화진포호는 어떻게 보존되고 있는 것 ... ...
[바둑과 처세술⑩] 버림의 미학, 미니멀라이프를 실천하라!
2016.09.21
최근 '미니멀라이프'가 화제다. 필요 없는 물건은 버리고, 살림살이를 최소로 갖춰 일종의 삶의 여유를 되찾자는 취지다. 미니멀라이프가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면서 '버림의 미학'이라는 말이 주목받고 있다. 버리는 데도 아름다움이 있다는 것이다. GIB 제공 일반적으로 무엇을 버리는 것은 아까 ... ...
지진으로 불안한가요? 지진 공포 이겨내려면 이렇게!
2016.09.16
※ 편집자주. 이제 우리 나라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 것일까요? 작년 경주 지진에 이어 2017년 11월 15일 포항에서 또 다시 강도 높은 지진이 일어나자 불안을 느끼는 사람도 늘어난 듯 합니다. 인간은 언제나 자연의 격변에 적응하며 살아왔는데요, 지진과 같은 재난이 엄습할 때 우리는 어떻게 우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