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적
훈공
공
성공
보람
수훈
한길
뉴스
"
공로
"(으)로 총 1,041건 검색되었습니다.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클로로퀸'은 어떤 작용을 하는가
2020.04.14
오스미 요시노리 도쿄공업대 명예교수가 오토파지를 조절하는 유전자와 그 기능을 밝힌
공로
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오토파지는 ‘오토파고솜(autophagosome·자가포식소체)’이라는 주머니형태의 조직이 불필요한 단백질이나 세포내 기관 등을 둘러싼 뒤 가수분해효소를 지니고 있는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박상민 책임연구원·조학래 대표
동아사이언스
l
2020.04.13
분석기와 900메가헤르츠(MHz) 디지털 무선마이크 시스템을 한국 최초로 개발해 상용화한
공로
를 인정받았다. 분석기는 본래 이동통신 환경과 5G 주파수를 동시에 분석하는 장비로 기존 분석 장비와 비교했을 때 측정시간을 20분의 1로 줄일 수 있다. 무선마이크는 전량 해외 제품에 의존하던 시장 ... ...
[과학기술의 큰 걸음]"포니 프로젝트는 지금도 진행형"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포니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이후 설계책임자로 주요한 자동차 개발을 진두지휘한
공로
를 인정받았다. 모두 자동차 산업에서 ‘무명’에 가까웠던 한국을 불과 40여 년 만에 자동차 분야의 세계적 강국으로 이끈 공을 ‘기적’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이 전 사장은 “살아남으려면 자동차 ... ...
[의학 바이오 게시판] 이대서울병원, 코로나19 검사 2000건 넘어
동아사이언스
l
2020.04.08
보건의날 기념 강원도지사 표창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지역사회 보건 향상에 기여한
공로
를 인정받았다. 이재준 병원장은 “앞으로 지역사회 의료 역량을 강화하고 도내 의료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등 지역 의료서비스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혁명의 기수, 혁명의 제물이 되다
2020.04.02
발견자라고 불러야 하나 하는 딜레마에 슬쩍 빠지게 된다. 그렇다고 산소 발견에 기여한
공로
를 모른 체 할 수도 없을 것 같다. 게다가 어차피 산소라는 기체의 정체성을 잘 몰랐다면 스웨덴의 셸레는 단지 발표가 조금 늦었다는 이유만으로 산소 발견자 명단에서 빼야 하나 싶기도 하다. 이처럼 ... ...
ETRI, 올해의 연구자상에 디지털X선 기술 개발한 송윤호 책임연구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4.02
성과 홍보 및 우수 상용화 사례로 손미진 수젠텍 대표와 정종선 신테카바이오 대표에게
공로
상을 수여할 예정이다. 김명준 ETRI 원장은 “많은 국민들이 어려워하는 시기에 사회적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연구에도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ETRI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확산 ... ...
초음파로 몸속 의료기기 충전하는 시대 연다…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김상우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4.01
소자를 충전하는 기술을 개발해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의료분야 발전에 기여한
공로
를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진동이나 빛, 열 등 일상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수집해 전기로 바꾸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활용한 인체 삽입형 의료기기를 개발했다. 기존 인체 삽입형 ... ...
"많으면 다르다"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필립 앤더슨 별세
연합뉴스
l
2020.04.01
전했다. 앤더슨은 1977년 자기계와 무질서계의 전자 구조에 대한 이론적 기틀을 세운
공로
를 인정받아 영국의 네빌 프랜시스 모트, 존 하스브루크 밴블렉 등 다른 과학자 2명과 함께 노벨상을 받았다. 앞서 앤더슨은 1972년 논문에서 개별 입자를 이해한다고 해도 집합체는 새로운 구조가 된다는 ... ...
"자연 소재 활용해 의료혁신 이룰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3.27
로레알 측은 “신 교수가 의료 현장에서 많은 사람의 건강을 지킬 유용한 기술을 개발한
공로
가 인정된다”고 밝혔다. 신 교수는 KAIST에서 박사 과정을 밟으며 맞아도 피가 나지 않는 주사바늘 코팅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며 주목을 받았다. 누구나 주사를 맞으면 피부에 미세한 상처가 생기고 ... ...
[인류와 질병]불과 철 같은 감염성 질환과 인간의 공진화
2020.03.15
매독에서 치료되었다. 말라리아가 일으키는 고열이 매독균을 공격한 것이다. 그는 이
공로
로 1927년 노벨의학상을 받았다. 고열은 감염균을 막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어전략 중 하나다. 감염체나 숙주나 모두 비슷비슷한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심한 열이 나면 기력이 떨어지고 힘이 빠진다.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