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주"(으)로 총 1,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그 수준은 크게 올라간다. 집단지성을 이용해 복잡한 퍼즐도 해결할 수 있다.지난 2011년 호주 시드니대 연구팀은 하노이의 탑을 이용해 최단 경로를 찾는 개미의 능력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실험생물학회지’에 발표했다. 하노이의 탑은 막대기 세 개와 크기가 서로 다른 원판을 이용하는 ... ...
-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서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자.지난해 스페인 바르셀로나대, 영국 서레이대, 호주 퀸즈랜드대 등으로 이뤄진 공동연구팀은 사람의 생체리듬 유형에 대한 리뷰 논문을 학술지 ‘국제 시간생물학’에 발표했다. 저녁형과 아침형 인간은 성인 중에서 약 40%를 차지하는데, 이들은 생리적, 심리적, ... ...
- 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대표적이고 직접적인 ‘킬러’다. 토바 분출로 나온 화산쇄설류로 아프리카 대륙 동쪽과 호주 북서쪽 해안에 쓰나미가 발생했다는 증거가 있다.약 7만 4000년 전 토바 분출 때 분출물의 부피는 약 1000km3이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분출로 화산재가 고도 25km이상의 성층권까지 도달하면서 ... ...
- 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탤런트)을 구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의도가 타지 마할이 아니라면? 실제로 그래미상을 받은 뮤지션, 근처 인도 음식점, 호주에서 만든 독립 영화 이름도 타지 마할이다.근처 인도 음식점 이름을 머릿속에 두고 타지 마할로 검색했다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없을 것이다. 꽃미남 배우 ‘김수현’을 검색하면 어떨까.이름이 ... ...
-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연구팀은 “아시아촌충은 민촌충의 아종일 뿐”이라며 새로운 종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호주나 영국 학자들도 대만의 손을 들어주며 맹렬히 공격해왔다. 하지만 미국이나 스페인, 벨기에, 중국 등에서 새로운 종임을 주장하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며 두 입장이 팽팽히 맞서기 시작했다.여기에는 ... ...
- [화보] 종이로 만든 입체 예술 , 팝업아트수학동아 l2013년 04호
- 극대화됐다. 진짜 꽃, 진짜 거미?진짜인지 가짜인지를 의심할 만큼 섬세한 팝업 북이다. 호주의 전문 페이퍼 엔지니어이자 작가로 활동하고 있는 벤자 하니의 작품이다. 그는 감각적이고, 섬세한 작업 활동을 하는 작가로도 유명해 종이 건축조형이나 광고, 패션분야와 잡지 일러스트 등 다양한 ... ...
- 꽃 호르몬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위해 경쟁했다. 대표적인 과학자가 영국의 캐롤라인 딘, 독일의 조지 쿠플랜드, 호주의 엘리자베스 데니스와 필자의 지도교수였던 미국의 리차드 아마시노였다. 1993년, 최초의 개화유전자 클로닝을 필자가 해내면서 첫 번째 개화유전자 클로닝의 영예는 아마시노 교수에게 돌아갔다. 아직도 ... ...
- [과학뉴스] ‘쥬라기공원’처럼 멸종 개구리 살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개구리가 알을 낳자마자 스스로 삼킨 후 뱃속에서 알을 부화시킨 뒤 뱉어내기 때문이다. 호주 열대 우림에서 살던 이 개구리는 1983년에 멸종됐다.개구리를 되살리기 위해 연구팀은 40년 동안 냉동상태로 있던 이 개구리의 조직에서 세포핵을 분리했다. 그 다음 유전적으로 가까운 큰 줄무늬 개구리 ...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소행성을 찾는 일에 힘을 보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MTNet 프로젝트란 칠레, 호주 등 남반구에 지름 1.6m급의 거대 망원경을 설치하는 계획으로 남반구의 별을 24시간 관찰할 수 있다. 남반구의 밤하늘은 아틀라스의 망원경이 볼 수 없는 곳이다.세계 여러 나라들이 힘을 모아 위협적인 소행성을 ... ...
- 가볍고, 견고하다! 텐세그리티수학동아 l2013년 03호
- 두 가지 구조물을 만들었다. 이 밖에도 텐세그리티를 대표하는 구조물로는 호주 브리즈번 강에 있는 쿠릴파 다리와 미국 아틀란타의 조지아 돔 등이 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모두 인장재와 압축재가 잘 드러나 있어 독특한 아름다움도 느낄 수 있다.하지만 국내에는 아직 완벽한 텐세그리티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