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촉진
진행
조장
증진
충격
충동
여세
d라이브러리
"
추진
"(으)로 총 2,345건 검색되었습니다.
Bridge. 바람 타고 화성 누비는 텀블위드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지름 5m에 약 20kg으로 커다란 공처럼 생겼어. 다른 로봇과 다르게 배터리 없이 바람을
추진
력 삼아 이동하지. 공처럼 데굴데굴 굴러가기도 하고 통통 튕기며 이동해. 그러다가 탐사지역이 나오면 가스를 빼서 멈춘 뒤, 몸 안에 장비를 이용해 정밀 탐사를 하는 거지. 화성은 대기가 1%에 불과하지만 ... ...
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0ml다. 지방과 근육의 비율도 부력에 영향을 준다. 지방 대비 근육량이 많아질수록 근력과
추진
력이 향상되지만 밀도가 높아져 부력은 반대로 떨어진다. 반대로 지방이 많으면 부력은 좋아지지만 근력과 지구력은 줄어든다. 따라서 수영선수에게는 근육과 지방의 절묘한 비율이 중요하다.특정 ... ...
과학으로 본 다크나이트 라이즈 : 배트맨 다시 일어서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기체 하단에 숨은 프로펠러를 발견하고 나서다.“기체가 가볍고, 기체 아래 프로펠러의
추진
력만 충분하다면 더 배트는 날 수 있다”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폭스 박사는 브루스 웨인에게 ‘더 배트’를 빌딩 숲을 누비도록 만든 비행체라 소개했다. 그렇다면 더 배트는 미래의 시가지 공중전을 ... ...
레이저로 원전 연료 만들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235를 기존보다 최고 5배 이상 경제적으로 분리하는 새로운 우라늄 농축시설 건설을
추진
하고 있다고 ‘네이처’가 보도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핵무기 개발에 이용될 우려가 있고 건설도 쉽지 않아 실제 건설은 어려울 것이라 보고 있다.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과 일본 히타치는 지난 7월 11일 ... ...
시조새는 여전히 진화의 증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있었던 일입니다. 다만 이번에 그 주장이 받아들여졌다는 게 문제죠.”‘한국진화학회
추진
위원회(이하 진추위)’를 만든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장대익 교수의 말이다. 장 교수의 말처럼 출판사 3곳에서 과학교과서의 관련 내용을 빼기로 했다.물론 교과서에서 진화론이 빠진 것도 아니고, 창조론이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미뤄 볼 때 미국의 ICBM인 ‘피스키퍼(LGM-118A)’에 버금간다. 더구나 일본은 최근 M-V보다는
추진
력이 떨어지지만 대량생산에 적합한 ‘엡실론’ 이란 이름의 차세대 고체로켓을 개발 중이다.일본은 가장 중요한 재돌입기술 역시 충분히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1994년 일본은 오렉스란 이름의 우주개발 ... ...
누구나, 함께 쓰는 슈퍼컴 전도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외에 또 하나가 있다. 바로 효과적인 협업환경을 만들기 위한 연구다. 김 교수는
추진
중인 협업환경의 이상향을 ‘텔레프레전스(Tele-presence)’라 명명했다. 멀리 떨어져 있어도 그 존재를 느낄 수 있다는 뜻이다.“단순히 통화하고 자료만 주고받는 수준을 구현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서로 다른 곳에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각 지점에 있는 앵커링을 조절한다.힘을 받는 방향과 시간을 계산해 정확히 반대 방향의
추진
력을 발생시켜 안정된 위치를 유지한다. 또 텐션렉 중간이나 앵커링 부분에 외부 힘을 천천히 전달하는 진동 흡수 장치(댐퍼)를 설치한다. 이처럼 복잡다단한 외부 영향을 순간적으로 계산하기 위해서는 ... ...
PAL-VON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주 엔진으로 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지 않는다. 동체 뒷부분에 달린 작은 프로펠러로
추진
력을 얻어 앞으로 나아간다. 이때 받는 공기의 힘으로 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며 양력을 얻기 때문에 헬리콥터처럼 수직 이착륙은 불가능하다. 가격은 3~4억 원이 될 것으로 보이며 2014년부터 판매될 예정이다.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충격 점화’ 기술을
추진
중이다. 충격 점화란 레이저의 펄스 형태를 자유자재로 변형해 연료캡슐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압축하는 기술이다. 임창환 연구원은 “고속 점화와 충격 점화를 동시에 이용하면 더 적은 에너지로도 점화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