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표"(으)로 총 1,4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늑한 겨울을 품은 외암마을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마을로 알려졌다. 돌(石)과 말(言), 양반이 많은 지역이라는 얘기다. 마을의 지질구조는 지표면에서 일정한 지층에 이르기까지 호박돌로 이뤄져 있다. 호박돌은 지름이 20~30cm 크기로 화강암이나 변성암 등 경도가 높은 암석이 개울이나 하천에 의해 깎여진 잡석을 말한다. 조약돌보다는 커서 ... ...
- [체험] 친환경자동차 연구의 기본은 수학! 자동차안전연구원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달릴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자동차 엔진의 친환경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예요. 되도록 적은 양의 연료를 써서 먼 거리를 가도록 만들어야 환경에 피해가 덜 가잖아요. 그래서 자동차 회사는 차를 만들 때 연비를 계산해서 소비자들이 알 수 있도록 표시해야 하지요.자동차의 연비를 ... ...
- ‘현무암부채’ 천연기념물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0호
- 한탄강 유역에 있는 현무암 협곡, 비둘기낭 폭포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했어요.주상절리란 지표면으로 나온 용암이 빠르게 냉각되면서 육각모양으로 쪼개져 생기는 기둥을 말해요.천연기념물 536호로 등재된 양남 주상절리군은 육각기둥 용암들이 병풍처럼 서 있는 제주도 주상절리와는 달리 땅에 ... ...
- 저선량 방사선은 몸에 좋다? 나쁘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유전자(아구티)의 DNA 메틸화 정도(DNA에서 유전자 표현형 변화를 일으키는 후성유전의 지표)와 자손의 색 변화를 살펴봤다. 그 결과 0.7~7.6cGy(센티그레이, 방사선 세기 단위, 복부 CT 스캔이 8cGy 수준이다)의 방사선을 쪼였을 때 DNA 메틸화가 많이 일어났고, 1.4~3cGy의 방사선을 쪼였을 때는 털의 무늬가 ... ...
- 화학자가 본 플루오린화 수소 유출 사고의 진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유출되면 사실상 뾰족한 대책이 없다. 가스가 넓은 공간으로 퍼져나가거나, 빗물에 녹아 지표로 떨어지기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 공기 중으로 퍼져 나가는 플루오린화 수소에 가루 상태의 소석회를 뿌리는 것으로는 실질적인 효과가 없다. 결국 처음부터 소석회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비난한 ... ...
- 겨울 한파, 북극 해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몰아쳤다. 2009~2010년 겨울철 북반구에 한파가 닥쳤을 때 시베리아의 찬 공기를 막아주는 지표인 북극진동 지수가 -6까지 떨어졌다. 그동안 진행된 많은 연구에 의하면 2009~2010년 한파는 시베리아에 증가한 눈의 양과 연관이 있다.마지막으로 북극 해빙이 줄어들면 바다에서 대기로 더 많은 열이 ... ...
- 함께 사는 지구, 그런데 왜 부자만 건강할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사망률을 예측하고 미국에서는 노인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의 사망률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다. 그만큼 사망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뜻이다.불평등은 자연스럽지 않다오늘날 문명화된 사회는 대부분 불평등한 사회 구조를 갖고 있으며 점점 그 정 도도 심해지고 있다. 혹시 평등보다는 불평등이 ... ...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1 수준까지도 줄어들 수 있다. 오늘날 자기장이 막아주고 있는 고에너지 우주방사선이 지표까지 그대로 뚫고 들어올 수 있다는 뜻이다. 도 교수는 “고에너지 우주방사선이 세포 속 DNA를 파괴해 돌연변이나 암을 일으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78만 년 전 브루네스-마츠야마 자기장 역전이 일어났을 ...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산양 68마리와 일본 산양 50마리의 유전적 다양성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유전적 다양성의 지표가 되는 이형접합도에서 강원도 산양이 0.563, 경상북도 산양이 0.613으로 0.400으로 나타난 일본 키소후쿠시마시 산양에 비해서는 높았다. 이형접합도가 높을수록 유전적 다양성이 높다. 이형접합도가 1이면 ... ...
- Part 4. 우리 함께 살 수 있어요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주민들과 공존하는 셈이다.공원 내에서 흑곰은 이 지역 생태계의 건강성을 보여주는 지표종이다. 이 지역 생태 보호를 위해 공원관리 당국이 하는 일은 산림을 태우는 것과 곰의 개체수 확인이다. “1~2년에 한 번씩 조사를 실시해 태울 산림을 지정하고 불태웁니다. 곰뿐만 아니라 사슴류와 키가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