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명
입증
확증
근거
보증
증언
뒷받침
d라이브러리
"
증거
"(으)로 총 2,26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매머드 화석에 인류가 남긴 흔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즉, 매머드가 살았던 4만 5000년 전부터 추운 극지방에 인류가 정착해 살았다는
증거
자료를 발견한 거예요.사람이 추운 극지방에 4만 년 전부터 살았다는 흔적을 발견하는 일은 매우 드물어요. 보통 과학자들은 극지방에서 사람이 살았던 시기를 지금으로부터 약 3만 5000년~3만 년 전으로 추정하고 ... ...
[Tech & Fun] 믿는 도끼를 잔뜩 고른 나무꾼은…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진행될수록 부정적인 정보들의 힘이 훨씬 커진다. 관계 초기를 지나면 조금만 부정적인
증거
가 나와도 상대를 가차 없이 평가절하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대인신뢰 형성 과정은 일단 믿을 만한 도끼를 잔뜩 고른 뒤에, 도끼의 부정적인 면을 유심히 살피며 발등을 찍을 것 같은 도끼를 하나씩 ... ...
[수학뉴스] 백제 의자왕도 구구단을 외웠을까?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우리 조상들이 일본보다 훨씬 전부터 구구단을 사용했을 것이라는 추측은 있었지만
증거
가 없어서 답답했었는데요. 이번 구구단표의 발표로 이제 일본은 할 말을 잃었겠네요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투입됐다. 사고 원인을 밝히기 위해 수중감식이 진행됐다. 돌고래호 자체가 거대한
증거
물이었다.“배가 뒤집힌 채 떠 있는 상태였는데, 언제 가라앉을지 모르니 위험할 수밖에요.” 그의 팀은 돌고래호 안에서 위치발신장치인 브이패스(V-PASS)를 수거해 사고원인을 밝히는 데 기여했다. 해경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달랐기 때문에 이 둘은 경쟁할 필요가 없었다. 백악기 때 새와 대형 익룡이 공존했다는
증거
는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는데, 우리나라 남해안에서도 거대한 익룡과 조그마한 새가 함께 호숫가 주변을 돌아다녔음을 보여주는 발자국 화석들이 발견됐다.안타깝게도 이 날짐승들의 공존은 지금으로부터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서서히 일어났어요. 공룡이 환경에 적응할 시간이 충분했다는 이야기지요. 또 최근 화석
증거
로 보면 모든 공룡은 깃털을 가지고 있었어요. 찬바람이 불 때는 깃털이 달린 다리로 몸을 감싸고 따스하게 했을 거예요. 공룡이 지금 파충류처럼 주변 환경에 따라 체온이 바뀌는 ‘변온동물’이었다면 ... ...
[News & Issue] ‘꽉 찬’ 주기율표 새로운 화학 문 여나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연이은 알파붕괴와 멘델레븀은, 이것이 113번 원소로부터 연속적으로 일어났다는 확실한
증거
였다. 더군다나 세 번에 걸친 이들의 발견은 IUPAC으로부터 인정받기에 충분했다. 권영관 기초과학연구원(IBS)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 실험장치 팀장은 “실험 완성도에 있어 네 번의 알파붕괴와 여섯 ... ...
Intro. 바다의 셜록에 도전하다 수중과학수사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과학수사의 영향력이 닿지 않는 오지였다. 최근 이 철옹성에 균열이 생겼다. 물에서
증거
를 찾는 ‘수중과학수사’가 움을 틔우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다의 셜록에 도전하다 수중과학수사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Interview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있다. 2011년 9월 미국 조지메이슨대 브론윈 데브린 연구원은 유속이 빠른 곳에 놓은
증거
물일수록 지문이 빨리 사라진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증명했다. 어찌 보면 당연한 연구결과지만, 그동안 아무도 시도하지 않았던 일에 착수해 수치화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전북청 과학수사대는 수질에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여성청소년과장(전 해양경찰청 과학수사계장)은 “수중시체에서 발견된 곤충을
증거
로 생각하고 수집하려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곤충의 분류와 생태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사건현장에 직접 참여해야 한다”며 “기록이 쌓여야 미국처럼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단서 2 피를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