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체론
본체
존재론
d라이브러리
"
존재철학
"(으)로 총 61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문화시대일수록 「교양독서」는 보다 절실하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과학도서의 독서는 이공계분야의 진료결정에 자료를 제공해줄뿐 아니라 결정된 진로의 정보를 사전에 얻고 준비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인간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필요능력에 포함되는 쓰기 읽기 셈하기를 흔히 기본능력이라고 한다. 그러나 과학과 기술이 개인의 행복은 물론 사회 복지와 재앙 ... ...
PART 1 물의 신비한 특성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이 세상에서 물만큼 흔한 것도 없다. 물은 어느 곳에나 있으며 생물은 물 없이는 생명체를 지탱하지 못한다.바다, 강, 호수, 그리고 빙산의 형태로 지구표면의 약4분의 3을 덮고 있고 또한 지구내부에도 흙이나 암석에 스며들어 있거나 지하수의 상태로, 그리고 대기중에는 수증기로 또는 구름으로 ... ...
쿼크다음엔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이 세계는 모두 두가지의 기본적인 입자로 되어 있다. 쿼크와 렙톤은 과연 궁극적인 입자일까."신은 미묘하지만 심술궂지는 않다"는 아인슈타인의 말은 이 세계가 가장 단순한 물질과 힘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뜻한다. 모든 물질의 기본이 되는 것을 찾는 노력은 그리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 ...
초능력을 군사목적에 쓴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SF의 소재가 되었던 초능력의 연구 실험이 미·소를 중심으로 맹렬히 진행되고 있다. 그 주된 이유는 목적에 있다.초능력 또는 초감각적 지각이라고 번역되는 ESP(extra sensory perception)는 이제 흥미거리 SF의 대상만은 아니다.그것은 놀랍게도 강대국의 군사목적에 이용되고 있다.핵무기에 대한 세계 여 ... ...
과학혁명과 연구소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17세기에 설립붐을 이룬 과학연구소는 과학문명의 터전을 닦았고 오늘날 선진국이 존재하게끔 결정적 기여를 했다.서양의 역사에 있어서 17세기는 하나의 분수령을 이룬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해서 중세 봉건사회는 근대사회로 탈바꿈을 하였고, 특히 자연과학이 참된 모습을 갖추게 되었는데 이 ... ...
국제 저작권 가입을 앞두고 과학출판의 제도적 지원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과학과 기술이 우리에 비해 앞선 나라가 그들이 투자한 연구비나 개발비를 뽑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것을 나무랄 수만은 없다. 그러나 균형잡힌 지구촌의 경제 발전과 국제적 안정을 위해 과학 정보는 모든 사람에게 공유되어야 한다. 지적 소유권의 범위는 매우 넓지만, 오늘날 우리에게 닥친 과학 ... ...
교사의 적극적 실천자세가 앞서야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지구상에 인간이 나타난 이후, 인간은 자연과 끊임없이 관계를 맺어오면서 호기심과 경외감을 바탕으로 차츰 과학을 진보시켜 왔다. 고대에서 중세에 걸친 수천 년 동안 과학은 몇몇 선구자적인 과학 두뇌들에 의해 부분적이고 단속적인 발전을 해왔으나, 산업혁명을 분수령으로 하여 과학은 양적 ... ...
과학하는 마음가짐 열린 마음으로 자연을 보자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밤하늘을 본다. 그 하늘과 자신을 연관시켜 본다. 즉 자신을 우주의 한 산물에 포함시켜 자신과 우주를 생각하며 동화시킨다. 이 과정은 우리의 선인들이 했던 일들이다. 그러나 지금에 살고있는 현대인들은 그러한 여유를 지니고 있는 것일까? 저마다의 이유, 대의 명분에 휩쓸려 자신도 모르게 자 ... ...
아인슈타인은 어떤 사람이었나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나는 남들보다 정신적 성장이 늦어 남들이 모두 의심없이 받아들이는 것들조차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해 결국 새로운 것을 찾아내게 되었다" 1955년 4월 18일 새벽 1시가 조금 지났을 때 미국 '뉴저지' 주 '프린스턴'병원에서 아인슈타인은 숨을 거두었다. 묘와 기념비 만들지 말라 묘비와 기념비를 ... ...
아인슈타인 이후의 상대론 천재의 예언은 들어 맞았나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과학기술의 발달로 고도로 정밀한 실험과 관찰이 가능하게 되면서 아인슈타인의 상대론은 착착 검증되고 있다. 나아가 우주론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던 상대론은 양자론과 결합해 새로운 양자 중력이론으로 발전하고 있다. 자연을 가장 단순하고 조화롭게 설명하려던 아인슈타인의 꿈은 언제 이루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