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원"(으)로 총 2,4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갯바위 층층이 사는 생물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물 몇 방울만이라도…! 상부 조간대지구상에 수많은 조간대는 각기 환경이 다르긴 하지만, 한 가지 공통점이 있어요. 해안선을 기준으로 어느 높이인지에 따라 살고 있는 생물 종이 다르다는 것 이지요. 바닷물이 잘 닿지 않는 상부, 규칙적으로 물이 차고 빠지는 중부, 대부분의 시간 동안 물에 잠 ... ...
- [과학뉴스] 2004년 수마트라 대지진 원인 밝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원인을 최초로 밝혀 ‘사이언스’ 5월 26일자에 발표했다.IODP에 참여한 송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CO2지중저장연구단 책임연구원은 “수마트라 섭입대에서 천부지진을 유발하는 원인이 섭입 전 해저지층에 존재하는 규산염 광물의 탈수 작용과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IODP 연구팀은 2016년 8월 ... ...
- [Origin] 악의는 왜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낭비하는 악의적인 행동 같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자신과 자기 자식들이 자원을 둘러싼 이웃들과의 경쟁에서 이기게 해주는 이기적인 행동이다. 마찬가지로, 병역 기피 연예인이 보도된 인터넷 기사에 굳이 악플을 다는 행동처럼, 제삼자에 대한 인간의 도덕적 처벌도 ‘너 죽고 나 죽자’는 ... ...
- Intro. 수학은 지금 산업 문제 찾아 ‘열일’ 중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문제를 해결하느라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에너지부터 스포츠, 수자원 문제까지 수학과 무관하다고 여겼던 분야에서 수학을 필요로 하는 일이 많아졌거든요. 세상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한다는 소문에 여기저기서 ‘산업수학’을 외치고 있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신물질을 찾기 위해서는 그 동물이 무엇인지 정확히 구분해 내야 해요. 그래서 국립생물자원관 박태서 연구사는 기존에 잘못 구분된 종들을 다시 정리하고, 동시에 새로운 종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지난해 박 연구사는 ‘한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새로 분류했답니다. ... ...
- [Issue] 바다에 자일렌이 유출되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사고가 났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일어난 14건의 사고로 HNS 20만6223L가 유출됐다. 해양자원이나 인간의 건강에 심각한 위해를 끼쳐 절대 해양에 배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해양환경관리법에서 ‘X류’로 정한 HNS인 크레오소트도 60L가 유출됐다. 이찬근 국민안전처 기동방제과장은 “HNS가 바다에 ... ...
- [Career] 에너지를 생산하는 ‘밥솥’을 만든다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관련한 연구로 가득 차 있었기 때문이다.에너지공학과의 차이를 묻자 “에너지공학이 자원에 대한 연구라면, 화학공학은 효율을 높이는 연구”라고 말했다. 예컨대 끓는점에 따라 화합물을 분리하는 증류탑의 경우, 에너지를 많이 투입하면 순도는 당연히 올라간다. 만약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것이 ... ...
- [과학뉴스] 고무와 플라스틱, 식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미네소타대 화학공학과 폴 다웬하우어 교수팀이 나무와 풀, 옥수수와 같은 재생 가능한 자원에서 합성고무와 플라스틱의 원료가 되는 분자인 부타디엔을 합성하는 방법을 미국화학학회의 친환경 분야 저널 ‘지속가능한화학및공학’ 온라인판에 4월 2일 발표했다. 부타디엔은 일반적으로 석유나 ... ...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서로 억제하거나 죽이는 분자를 분비하는 작용이다. 대개 영양분이나 산소와 같은 자원이 한정적일 때 발생한다. 편해공생은 경쟁과 비슷하지만 한쪽이 일방적으로 피해를 입는 작용이다. 이로 인해 약한 클론이 멸종하고 강한 클론이 전체 암 군집에서 주도권을 차지한다. 클론들은 호르몬 또는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그간 수십만 개 클론의 암세포에 일대일 대응책을 마련하고자 지나치게 소모됐던 연구 자원이, 조기진단을 위한 기술력 확보에 더 중요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한다.옥찬영_ock.chanyoung@gmail.com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서울대병원에서 수련의 및 내과 전공의 수료, 혈액종양내과 임상강사를 마쳤다.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