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극"(으)로 총 2,459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심장 근육세포를 배양해 근육박막(MTF)을 형성했다. 그리고 여기에 전기 자극을 가해 전기 자극과 심장 수축 정도의 상관관계를 근육박막이 휘는 각도를 측정해 정량화했다.2007년에는 한국계 미국인 과학자인 루크 리(한국이름 이평세) 미국 UC 버클리 교수팀이 ‘리버(간) 온어 칩(liver on a chip)’을 ... ...
- [Photo] 옐로나이프를 감싼 ‘천상의 커튼’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로 진입하면서 공기와 반응해 빛을 내는 현상이다. 따라서 지구 자극과 인접한 위도 60°~80° 지역에서 주로 나타난다.오로라는 색과 모양이 다양하다. 보통은 녹색이나 연두색을 띠는데 종종 붉은색이나 푸른색, 보라색이 보이기도 한다. 모양은 길게 늘어지기도 하고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작게 조각났을 때, 또한 익혔을 때 빠르고 완전히 소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코를 자극하는 마이야르 반응고기를 구우면 색이 갈색으로 변하며 향긋한 고기 냄새가 진동을 해요. 이는 고기 표면이 뜨거워지며 마이야르 반응이라 불리는 갈변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이에요.마이야르 반응은 1912년 ... ...
- [과학뉴스] 귀성길 지긋지긋한 멀미, ‘모자’로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개발됐다. 영국 임페리얼칼리지 런던 의대 콰디어 아르샤드 박사팀은 두피에 미세한 전기자극을 가하는 방식으로 멀미를 경감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신경학(Neurology)’ 9월 4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작은 전극을 이용해, 뇌에서 운동 신호를 처리하는 부위에 미세한 전기를 가할 ... ...
- [Life & Tech] 사찰 김치, 세계인의 보약 될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느끼한 맛도 김치가 잘 씻어준다. 고구마나 떡을 먹을 때도 김치가 좋다. 김치가 침샘을 자극해 침의 양을 늘려주기 때문에 전분이 많은 음식도 잘 넘길 수 있다. 참치라는, 우리 조상은 듣도 보도 못한 생선을 넣어 침이 꿀꺽 넘어가는 김치찌개를 만든 것도 이런 문화의 연장선에 있다(김치찌개가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교수는 논문에서 “구체적인 매커니즘은 아직 밝혀지진 않았지만, 리드미컬한 소리 자극이 뇌 신경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여러 연구에서 증명됐다”고 밝혔다. 브라운관을 통해서도 정서는 전달될 수 있어언프리티랩스타와 같은 프로그램이 인기를 얻는 또 하나의 이유는 출연자들이 가감없이 ...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감독의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도 나타난다.시간여행 못지않게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해 온 것이 바로 우주여행이다. 다른 세계로의 여행은 인류의 오래된 염원이다. 허먼 멜빌이 ‘모비딕’에서 “나는 멀리 있는 것에 대한 멈추지 않는 근질거림으로 고통받는다. 나는 금지된 바다를 ...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비해 클 수밖에 없다.김영보 박사는 “한번 중독 중추가 활성화된 뇌는 계속 비슷한 자극을 요구한다”면서 “또 다른 대상에 중독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호주 모나시대 중독치료센터 연구팀도 이에 대한 연구를 했는데, 무언가에 중독된 사람이 다른 요인에 중독될 가능성은 약 58%나 됐다. ...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어떻게 반응하는지 관찰해 ‘호지킨-헉슬리 방정식’을 만들었다. 그 결과 신경세포가 자극을 받으면 흥분하면서 그래프가 뿔 모양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아 냈다. 전압이 원래보다 급격히 높아졌다가 뚝 떨어진 뒤, 다시 원래 값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전압뿔은 신경돌기를 따라 연쇄적으로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환자의 반응을 살핀 결과를 뇌지도로 그렸어요. 펜필드는 뇌의 바깥 부분만을 전극으로 자극했기 때문에 정확도가 많이 떨어져요. 하지만 뇌의 위치에 따라 그 역할이 각각 다르다는 사실을 증명했다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크답니다.해마 없으면 새로운 기억도 없다!7살에 뇌전증에 걸린 헨리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