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문
일간지
뉴스페이퍼
뉴스
신문지
페이퍼
신아일보
d라이브러리
"
일보
"(으)로 총 3,315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로 세계를 묶은 인터넷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인터넷은 태평양을 건너 수천km를 달려온 거대한 파도와 같다. 그 파도는 카약을 타고 있는 우리를 들어올렸다가 내동댕이치고 말 것이다. 누가 알겠는가, 인터넷이 우리에게 미칠 영향을.” 인텔사의 회장인 앤드루 그로브는 인터넷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오늘날 지구촌에서 살고 있는 인간들을 ... ...
외계행성 직접 증거 포착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우리 태양계와 같은 행성계가 태양계 밖에도 존재한다는 직접적인 증거가 처음으로 발견됐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버클리캠퍼스의 제프리 마르시 교수팀은 지구에서 1백53광년 떨어진 별 HD209458에서 주위를 돌고 있는 행성이 있음을 행성의 그림자를 통해 확인했다. 이 별은 1995년 외계행성의 존재 ... ...
목 비튼 채 통화하면 위험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컴퓨터작업을 하면서 귀와 어깨 사이에 수화기를 걸친 채 통화하는 경우가 많다. 통화가 끝나면 목을 비틀고 있었던 탓에 목이 뻐근해지기 마련이다. 그런데 장시간 이런 자세로 전화를 받으면 건강이 나빠질 위험이 매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프랑스 파리 생-앙 병원의 신경학자 마티외 쥐베 ... ...
인간복제는 시간문제 복제양 돌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1996년 7월 5일 영국 에든버러 근처 로슬린연구소에서는 양(羊) 한마리가 태어났다. 이 양은 보통의 양과 달랐다. 어머니와 DNA가 똑같은 클론(복제된 생물), 다시 말해 일란성 쌍둥이었던 것이다.로슬린연구소의 이언 윌머트 박사는 6년생 암양의 유방세포에서 핵을 꺼내 다른 양의 난자(미수정란) 안 ... ...
애완용 바다새우 '시몽키' 기르기 게임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바다새우를 집에서 손쉽게 기르며 생태를 관찰할 수 있는 제품이 국내에 소개됐다. 과학교육용 장난감을 꾸준히 판매해 온 인포테크 토이스 & 게임사는 최근 오스트레일리아의 무스사로부터 바다새우를 애완동물처럼 기를 수 있는 상품을 수입했다. 제품명은 시몽키(sea monkey). 바다새우의 움직임이 ... ...
기후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지구가 점점 더워진다고 한다. 그런데 우리에게는 어느날 한파가 닥쳐온다. 하늘은 매일매일 다른 조화를 부린다. 푸른 하늘에 흰구름을 만들거나 번개를 만들어 사람들을 놀래기도 한다. 그러다 무지개를 만들어 사람들을 유혹한다. 태양빛은 지구의 어느 부분은 열대로 어느 부분은 한대로 만들 ... ...
생물의 최후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잠든 아내의 모습을 보고 소리쳐 운다는 게 오히려 천박한 짓이지.”이 글은 ‘강원도민
일보
’의 칼럼 ‘면경대’에서 인용한 것이다. 장자는 ‘인생은 모두 천명에 따른다’는 숙명론을 취해 후세에 잘 알려진 인물이다. 무엇보다 장자의 사상은 ‘무위자연’(無爲自然)이란 한 단어로 압축된다.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사자자리 유성우가 온통 별밤지기들의 마음을 뺏고 있는 11월이다. 조금 일찍 집을 나서 가족들과 함께 늦가을의 별자리도 익히고 쌍안경으로 숨어있는 아름다운 천체들을 찾아보자. 이것만으로도 취할 만큼 아름다운 가을밤의 정취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1. 목성과 토성목성(남중 : 밤 10시 28분)이 ... ...
금세기 마지막 과학 축전 노벨상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1900년대를 마감하는 금세기 최고의 과학축전 노벨상은 어느 나라 누가 어떠한 연구로 받게 될 것인가. 일찍부터 귀추가 주목됐던 노벨상의 뚜껑이 마침내 열렸다. 99년 영광의 얼굴들과 그 업적들을 살펴본다.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지금까지 과학분야에서 노벨상을 수상한 여성은 모두 10명. 10년에 한명 꼴이다. 최근 영국의 주간과학지 '네이처'에서는 "왜 과학계에는 여성이 없을까"에 대한 논쟁이 한창이다. 과학계에 종사하는 여성이 적기도 했지만 여성에 대한 편견과 차별 또한 없지 않았다는 것이다. 노벨상을 수상한 여성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