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의사"(으)로 총 2,95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직접 들어본 요즘 사춘기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한 둘이 아닌데 성적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니 꽤 힘들어요. 장래희망도 조정했어요. 의사가 꿈이었지만 의대에 진학할 성적은 안 되는 것 같아서요. 의대보다 입학 성적이 살짝 낮은 수의대가 요즘 목표예요. 강아지를 좋아하기도 하고요. 사실 어떤 직업이든 고정 수입이 있는 직업을 갖고 ... ...
- Part 2. 수학, 과학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모델을 그림이나 영상으로 나타내 주는 사람이 필요하고, 결과를 해석하려면 생물학자나 의사도 필요하지요. 앞으로 연구가 더 진행되고, 다양한 분야와 협업이 활발해지면 수학을 이용해 불치병도 치료할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필즈상 받는 과학,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겨울에 떠나는 새 탐사! 윈터 윙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또한 새들의 울음 소리는 ‘콜’과 ‘송’으로 구분되기도 해요. 콜은 새들끼리 의사소통을 할 때 내는 소리고, 송은 수컷이 암컷에게 불러 주는 사랑의 노래랍니다. 그래서 사랑의 노래인 송의 소리가 훨씬 예쁘지요.” 김윤전 연구원의 설명이 모두 끝나자 지사탐 대원들의 질문이 이어졌어요 ... ...
- [Issue] 미백 화장품으로 하얀 피부 만들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생기고 부작용이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이 물질이 4% 이상 함유된 연고를 구입하려면 의사의 처방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물질마저도 멜라닌이 포함된 피부세포를 파괴하는 것이지 멜라닌을 직접 파괴하는 것은 아닙니다. 멜라닌만 골라서 없애는 미백화장품은 없다는 뜻입니다. 피부 지키는 ... ...
- [DGIST] 눈앞에 ‘뙇’ 증강현실 수술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입을 통해 체내로 들어가 흉터를 남기지 않는 수술에 주로 사용된다. 수술 내비게이션은 의사의 눈에 보이지 않는 체내를 시각화한다. 수술로봇연구실을 이끄는 홍재성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국내 최초로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을 수술 내비게이션에 접목했다 ... ...
- Part 2. 폭풍성장 사춘기의 몸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성숙하면서 자연스레 좋아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90일 이상 생리를 안 한다면 의사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반대로 무배란성 출혈이 지속되면 빈혈이 생길 수 있어 교정이 필요하다. 생활습관이 제대로 교정되지 못한 상태에서 성인이 될 경우 다낭성 난소 증후군으로 발전하거나 향후 ...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고리가 바로 시냅스다. 시냅스가 신경전달물질을 전달하기 때문에 뇌세포들이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중개 역할을 하는 수십 개의 신경전달물질이 규명됐다. 이유 없는 반항을 유발하는 신경전달물질은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이다. 세로토닌은 주로 청소년에게 자살 ...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핫이슈’인 유전자 가위의 효율을 인공지능으로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의사이기도 한 서종모 교수는 인공망막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하고 있다. 이종호 교수는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에 쓰이는 3차원 반도체(벌크 핀펫)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 ...
- 인권을 지키려는 인류의 노력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위해 적극적인 개입이 이뤄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국제사면위원회’ ‘국경없는 의사회’ 등 수많은 비정부기구(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 단체들이 빈곤 아동 지원, 난민 구호, 분쟁 지역의 구조 활동 등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아직도 세계는 역사와 문화의 차이, ... ...
- 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해냈으니 그럴 만도 하다. 사실 보통 사람들은 호킹 박사의 말을 알아듣거나 그와 의사소통하기가 매우 어렵다. 루게릭병 증상이 점점 악화돼, 말년 20여 년은 휠체어의 컴퓨터를 작동시켜 대화해야했기 때문이다. 그의 휠체어에는 컴퓨터와 음성 합성기가 설치돼 있었다. 그가 손가락 한두 개를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