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측
예기
예견
전망
기대
예보
예감
d라이브러리
"
예상
"(으)로 총 4,038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으로 살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효율과 제작 공정 측면에서 우수한 단결정 태양전지판을 대체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
했다. 현재 건기연은 제로카본그린홈에서 태양광 발전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구조를 찾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금은 태양전지판을 30도로 비스듬하게 기울여 여러 줄로 설치하는 게 일반적이다. 정진우 ... ...
천문학자가 남극점에서 본 우주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조금씩 흔들리고 있었던 것이다. 강 연구원은 “설치한 관측 장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예상
치 못한 결과가 나오면 왜 그런지 이해하는 과정이 재밌다”며 “관측 자료가 어떤 과정을 거쳐 나오고, 장비의 어떤 부품이 자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참고해 연구하는 것이 실험 천문학의 ... ...
[Dr.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턱 힘이 얼마나 강해야 입에 칼을 물고 휘두를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만 명)조회수 : 1674만 회 화학 실험은 마술 같아요! 단지 다른 물질을 섞었을 뿐인데 전혀
예상
도 못했던 이상한 결과물이 나오거든요. 우유에 식초를 넣으면 정체불명의 단백질 덩어리가 생기는 것처럼 말이에요. 그리고 화학자들은 이것보다 훨씬 더 해괴한 결과물을 얻을 비밀 레시피를 많이 알고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동시에 존재할 수 있게 되는 거죠. 미래의 로봇공학자를 꿈꾸는 10대는 어떤 로봇을
예상
하는지 궁금해요. 이인우: 스마트폰처럼 한 기계에 여러 가지 기능이 집약된 로봇이 개발될 것 같습니다. 특히 모양이 직육면체에 바퀴 하나가 달린 것처럼 단순한 모양이면 더 신비롭게 보일 것 같아요.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보전돼 있다”며 “PTPσ가 뉴렉신과 비슷하거나 더 중요한 기능을 가진 것으로
예상
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새로운 단백질을 발굴하거나 단백질의 기능을 연구할 때는 주로 특정 유전자가 작동하지 못하도록 아예 제거한 녹아웃(knockout) 쥐나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낮춘 녹다운 ... ...
[독일유학일기] 아헨공대 자퇴하고 카를스루에공대로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도착했다. 아헨공대 산업공학과를 제외한 나머지 대학에 모두 합격했다. 사실 어느 정도
예상
했던 결과였다. 독일은 이공계 지원자가 적어 이공계열 학과의 커트라인이 높지 않다. 독일은 성적 커트라인을 1.0(최상)~4.0(최하)으로 매기는데 아헨공대 기계공학과는 3.7 정도다. 그래서 그 유명한 ... ...
[이달의 책] 우리는 연결될수록 강하다 외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이렇게 부츠컷으로 갈아탄 이는 문턱값이 1인 사람이다. 이제 98대 2가 됐다. 그 다음은?
예상
대로 문턱값이 2인 사람이 부츠컷 청바지로 바꿀 것이다.이렇게 연쇄적인 변화가 일어난다면 모두 부츠컷 청바지를 입게 될까? 물론 세상이 그렇게 단순하지는 않다. 누군가는 부츠컷 청바지에 대한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1. 로봇 기술의 종합선물세트, 휴머노이드 “아시모(ASIMO)가 세상에 등장한 순간 망치로 머리를 한 대 맞은 것 같았죠.”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장인 오준호 ... 대학원까지 마치고 로봇공학자가 된 친구들도 있지 않을까요. 그 즈음에는 충분히 제가
예상
하는 세상이 올 것 같습니다 ... ...
[수학뉴스] 무작위한 수 사이에도 규칙 있다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적용됩니다. 페루제 연구원은 “소수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상
했습니다. ... ...
인류가 좀비 바이러스에서 살아남는 법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묶으면 길들인 좀비가 되고, 길들인 좀비가 탈출하면 다시 야생 좀비가 된다. 결과는
예상
밖이었다. 셰필드대 수학과 박사과정 학생들은 좀비 바이러스가 퍼졌을 때 인류의 멸망을 막기 위해 좀비를 길들이는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그 결과 인류는 좀비 바이러스로부터 생존할 수 있었습니다.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