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적
공적
위업
성과
공훈
성취
달성
d라이브러리
"
업적
"(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과학저널 ‘네이처’는 1971년 1월 22일자에 미국 하버드대 심리학과 대학원생인 마샤 맥클린톡이 단독 저자로 이름을 올린 2쪽짜리 논문을 실었다. 웬 ... 있다. 이런 사람들 덕에 인간 페로몬이 확실한 물증으로 밝혀진다면 맥클린톡의 선구적인
업적
은 노벨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지 않을까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
’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유쾌하게 풀었다.저자는 시신 활용을 일컬어 ‘죽은 상태에서만 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업적
’이라고 지칭했다. 그는 이 책에서 “죽음이 꼭 지루한 일만은 아니다”라며 “바닥에 등을 붙이고 누운 채 썩어가는 현상 역시 흥미롭지만 시체가 된 상태에서도 해볼 만한 일이 많다”는 익살맞고도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머릿속에 가득 찼다.요나트 박사는 세포 내 소기관인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을 밝힌
업적
으로 지난해 노벨화학상을 받은 석학이다. 리보솜은 전령RNA(mRNA)에서 읽어 들인 유전정보를 바탕으로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공장이다. 그는 여성으로는 마리 퀴리(1911년), 그의 딸인 이렌 졸리오퀴리(1935년), ... ...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없는 미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기계에 쓰인답니다.마리 엔느몽 카미유 조르당프랑스의 수학자 조르당은 군 이론에 큰
업적
을 남겼다. 집합의 임의의 원소 사이에 덧셈이나 곱셈과 같은 어떤 연산이 이루어졌을 때 그 결과가 다시 이 집합에 속하면 수학에서는 이 집합을 군이라고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로 탈출의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영국의 과학자인 마이클 패러데이는 혼자 책을 보면서 공부한 끝에 전자기학에 커다란
업적
을 남긴 인물이다. 패러데이의 전자기유도법칙은 변하는 자기장 안에 도선이 있거나 도선이 일정한 자기장 속에서 움직일 때 도선에 전기가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1831년 패러데이는 코일로 만든 도선속에 ... ...
수학자? 과학자?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한 일식을 예측했다고 한다.과학데카르트는 뛰어난 능력으로 과학에서도 여러 분야에
업적
을 남겼다. 생리학에서는 인간이 정신과 몸의 결합체라고 주장했다. 정신과 몸은 각각 별개이며 신경관을 통해 움직이는 미세한 물질이 진동을 전달해 몸을 움직인다고 생각했다. 데카르트에 따르면 정신을 ... ...
신체화장애,몸과 마음의 관계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요인인 경우가 많다. 오스트리아의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가장 뛰어난
업적
중 하나는 신체장애가 심리적 원인으로 올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그는 심리적 원인으로 눈이 멀거나 몸을 움직일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실제로 그런 증상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있다. 계속 ... ...
로봇은 살아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세계적인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 씨와 그의 아내인 구보타 시게코여사는 각각 훌륭한
업적
을 남긴 사람과 평범한 사람들의 모습을 로봇으로 만들었어. 금속으로 만든 조형물안에 브라운관을 넣고 주인공들에 대한 영상을 담았지. 마치 금속 로봇이 살아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니? 세 번째 방 ... ...
수학자? 과학자?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이뤄져 있다는 점을 밝혔고, 물체의 운동 법칙을 정리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뛰어난
업적
은 중력을 발견한 것이다. 뉴턴은 중력의 크기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사실을 알아 냈다. 1687년에는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라는 책을 펴냈다. 제목으로도 알 수 있지만 뉴턴은 자연 현상의 원리가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정체를 밝혀 기존의 은하 형성이론을 뒤집었다.이 교수는 허블우주망원경의 가장 큰
업적
으로 천문학이 이론적인 공상이 아니라는 걸 확인시켜 줬다는 점을 꼽았다. 허블우주망원경은 또 시뮬레이션에 의존하던 이론을 실제 영상으로 확인시켜 줬다. 우리가 볼 수 있는 가장 깊은 곳까지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