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사람 소장의 융모 흉내 낸 배터리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수록 황 분자가 고리를 이뤄 리튬과 사슬 형태로 연결되는
부위
가 많아지면서 전하를 띤 기자리튬이온을 포획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양전극 부분에 리튬이온을 추가로 포획할 수 있도록 산화아연층을 쌓아 올렸다. 이 층은 우리 몸의 ... ...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활성화됐다. 반면 책임을 부정하는 공개사과문을 읽은 사람의 뇌에서는 분노를 담당하는
부위
가 활성화됐다(국제 학술지에 제출 준비 중).올바른 사과는 갈등을 봉합하는 필수 도구다. 김영욱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교수는 “좋은 사과는 피해자에게는 트라우마를 치료할 수 있는 ... ...
Part 3. 진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의학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수 있다. 황 박사는 “폐기종뿐만 아니라 혈관이나 기도처럼 프랙탈 구조를 띤 다른
부위
가 손상됐을 때도 같은 방법으로 인공장기 설계도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프랙탈이 현대 의학에 달아줄 수 있는 날개의 크기는 무한하다. 하지만 해외에 비해 국내에서는 프랙탈 의학을 연구하는 ... ...
Part 1. 우리 몸에는 프랙탈 나무가 자란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신경섬유가 모여 있는 백질보다 프랙탈 차원이 훨씬 높다.뇌파뇌의 상태와 기능,
부위
에 따라 다르다. 시간을 기준으로 패턴을 분석했을 때 시간 단위, 분 단위, 초 단위로 봤을 때 형태가 비슷한 프랙탈을 띤다. 프랙탈 차원은 상황이나 기분에 따라, 또 정신건강에 따라 달라진다. 프랙탈을 활용하면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묶으면 그 실을 끊어버리지 않는 한 베이글로부터 분리할 방법이 없다. 베이글의 어떤
부위
를 어떤 모양으로 감든지 결국 실을 이리저리 굴리고 당기다 보면 다 연결되는 모양새니까, 베이글을 실로 감을 수 있는 방법은 딱 한 가지만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이번엔 프레첼을 감아 보자. 세 가지 ... ...
[과학뉴스] 알아서 척척~ 학습하는 손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덕분에 정교한 움직임이 가능하지요. 하지만 그만큼 로봇으로 만들기 가장 어려운
부위
이기도 해요. 그런데 최근 미국 워싱턴대학교 비카쉬 쿠마르 박사팀이 사람 손의 움직임을 스스로 학습하는 로봇을 개발해 발표했어요.연구팀은 24개의 관절과 40개의 구동장치로 이뤄진 손 로봇, 그리고 이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세포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위험요소가 있다. 현재의 항암제도 암세포 단백질의 특정
부위
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작용하는데, 이 역시 정상 세포의 단백질에 달라붙어 부작용을 일으킨다.약을 목적지로 전달하는 전달체를 매번 새로 개발할 필요가 없다는 것도 중요한 장점이다. 현재는 약마다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결과 참가자들은 무서운 장면이 나타나기 약 10초 전에 전대상피질(ACC)이 활성화됐다. 이
부위
는 무엇인가 집중하거나 충동적으로 내리는 결정을 담당한다. 모스브릿지 박사는 “전대상피질은 가까운 미래에 또는 내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일을 직감한다”면서 “위험을 피하고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태양의 위치 변화를 쫓아가며 최대한 많은 빛을 모으도록 설계했다. 포물선의 초점
부위
에 모인 태양빛은 광섬유 튜브를 따라서 지하로 전달된다. 이렇게 지하에 도달한 빛은돔 형태의 전등갓에서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면서 공간을 밝힌다. 현재 로라인 랩에서는 70여 종 약 3000개체의 식물을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근육의 피로도를 측정하기 위해 쓰인다. 원리는 아주 간단하다. 팔의 남아 있는
부위
와 의수가 닿는 부분(소켓 내부)에 전극이라고 불리는 작은 금속 조각을 여러 개 붙인다. 전극은 바로 아래 운동 신경세포가 만드는 근전도 신호를 읽어낼 수 있다. 이 신호는 로봇 의수에 내장된 증폭기와 아날로그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