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이러스"(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일으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한 번에 예방할 수 있는 범용 백신과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신종 감염병 예방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며 “세계적으로는 암이나 당뇨병 치료 백신, 충치 백신, 피임 백신 등 새로운 백신을 꾸준히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백신을 생산하는 세 가지 방법백신을 ... ...
- [핫이슈] 과학의 달엔 사이언스 크래프트로 놀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좋아할 소식! 사이언스크래프트의 첫 번째 시리즈로 ‘우리 몸 탐험 지도’가 나왔어요. 바이러스, 세포, 우리의 몸, 뇌에 대한 과학 이야기들을 종이 입체 모형을 만들며 재미있게 배울 수 있지요. 칼이나 가위가 필요 없이 풀칠만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만들어 볼 수 있어요. 이어서 ... ...
- [과학뉴스] 조류 독감, 인간에게 퍼뜨릴 수 있는 ‘돌연변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높아진다. 연구팀은 실제 바이러스에 적용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는 없지만, 바이러스의 돌연변이를 주시함으로써 감염이 대규모로 확산되는 것을 적시에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 의미를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PLOS 병원균’ 6월 15일자에 실렸다. doi:10.1371/journal.ppat.100639 ... ...
- [Career] 노벨상 꿈나무들, 인류의 미래를 연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탐구 자세가 돋보이는 팀도 있었다. 곤충을 폐사시키는 박테리아를 박테리오파지 바이러스로 막는 연구를 제안한 ‘곤충복지위원회’ 팀은 실제로 곤충이 사는 흙과 톱밥에서 박테리아파지를 3개월 동안이나 찾았다. 곤충복지위원회 팀 이은교 학생(대전제일고 2)은 “최근 곤충이 미래 식량과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효과 및 안전성을 동일한 임상 상황에서 검증하는 핵심 시험인 3상 시험으로 구분된다.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백신 개발이 급하게 필요한 경우와 같이 특별한 사례를 제외하면, 백신은 위와 같은 단계를 모두 거쳐야 실제 접종에 사용할 수 있다. 모든 단계를 거친 뒤에도 백신의 부작용을 항상 ...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천연두에 걸리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듣고 천연두를 예방하는 종두법을 만들었다. 두창바이러스(variola major)로 인한 천연두는 치사율이 30~35%로 높으며, 생존자의 65~85%는 소위 곰보라고 불리는 심각한 흉터가 남는다. 천연두로 전세계적으로 3억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 질환에 대한 방어면역 및 신·변종 감염병에 대한 백신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백신은 옳다!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Part 3. 인체, ... ...
- [과학뉴스] 마스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사상 최악의 미세먼지가 한반도를 습격하면서 거리엔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늘었습니다.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마스크를 쓰는 사람은 건 ... PM2.5는 지름 2.5μm 이하인 먼지를 일컫습니다. KF94와 KF99는 미세먼지보다 작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같은 전염성 질병원도 차단할 수 있습니다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생명체들이 우리 몸에 들어왔다 다시 배출되기를 반복한다. 특히 병원성이 있는 균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우리 몸에선 즉각 방어막이 작동한다. 이 방어체계를 ‘면역’이라 부르며,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선천성 면역과 살면서 획득한 후천성 면역으로 구분한다.생명체는 외부에서 온 ... ...
- [포커스 뉴스] 랜섬웨어 ‘워너크라이’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훔쳐 유출하면서 이를 악용한 워너크라이가 탄생했다. 더구나 워너크라이는 보통의 바이러스가 아니라 ‘네트워크 웜’이다. 네트워크 웜은 스스로 복제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어떤 중재자 없이도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의 복사본을 전달할 수 있다. 인터넷만 연결해도 워너크라이에 감염될 수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