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임"(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친구에게 생일 축하 노래를♬ 기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앗! 내일이 친구 생일이잖아?!”깜짝 놀란 섭섭박사님, 친구를 위하여 서둘러 선물도 챙기고 편지도 썼어요. 그래도 뭔가 아쉬운 마음. 역시 생일 파티에는 노래가 빠질 수 없겠죠?“Nintendo Labo(닌텐도 라보)로 기타를 만들어서 생일 축하 노래를 불러 줘야지!” ● 만들기 : 라보 기타르 만들자 ... ...
- [섭섭박사 실험실] 추억은 방울방울 비눗방울 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공원을 여유롭게 산책하던 섭섭박사님은 눈앞에 둥둥 떠다니는 비눗방울을 발견했어요. 주위를 둘러보니 공원에 놀러 나온 꼬마가 비눗방울 놀이를 하고 있네요. 섭섭박사님도 어렸을 적에 비눗방울 놀이를 참 좋아했는데…. 간만에 솜씨를 발휘해 비눗방울 장난감을 만들어 볼까요? 어떻게 ... ...
- [출동!기자단] 치약, 로션, 샴푸 ···앗! 여기에 미세플라스틱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지난 5월 28일, 서강대학교 화학과 신관우 교수님 연구실에 기자단 친구들 4명이 찾아갔어요. 친구들의 손에는 샴푸, 치약, 로션 등이 들려 있었지요. 교수님께 드리는 선물일까요? 이건 사실 생활용품 속에서 미세플라스틱을 찾기 위한 실험 재료랍니다. 기자단 친구들은 정말 실험에서 미세플라스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초등학교 때부터 고등학교 때까지, 얼음과 물은 과학교과서에 꼭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일상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고, 우리 몸에도 꼭 필요한 물질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교과서에는 얼음의 특성 중 가장 중요한 것만 요약돼있다. 교과서에서 미처 설명하지 못한 얼음의 신기한 비밀을 알아보자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뇌 신호로 직접 생각을 읽고 저장하는 방식은 오랫동안 수많은 SF소설과 SF영화의 소재로 사용됐습니다.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뇌(Brain)’가 대표적입니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마르탱은 전신 마비로 외부 신호에 반응하지 못하는 ‘감금증후군(locked-in syndrome)’ 환자이지만, ‘뇌 활성 전기신 ... ...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Ah 둘 중에 하나만 골라 YES or YES! Ah ah 하나만 선택해 어서 YES or YES’. 추천 알고리듬을 쓰면 힘들게 고를 필요 없다! 추천 알고리듬 사업으로 성공했을 뿐만 아니라 훤칠한 키, 잘생긴 외모로 SNS에서 유명세를 탄 젊은 CEO ‘알고 리’가 무지개 라이브에 떴다! ‘사기캐’ 알고 리의 싱글라이프를 ... ...
- [통합과학교과서] 용궁이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용왕님이 주신 초대장이 없어졌어! 초대장이 있어야 파티에 참석할 수 있는데….” 꿀록이 울먹이자 개코 조수가 심각한 표정으로 말했어요. “누군가 우리의 초대장을 이용해 용궁에 들어가려는 걸지도 몰라요. 용왕님이 위험해요!” 스토리 따라잡기 : 별주부의 도움으로 용궁에 입장하다 ... ...
- 긱블 메이킹 현장 급습,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쓸모 있는 물건은 이마트에 가서 찾으세요.”쓸모없는 물건을 만든다고 당당히 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쓸모는 없을지언정 반드시 재미는 있는 물건들을 만들죠. 그 주인공은 바로 과학공학 콘텐츠 제작소 ‘긱블’입니다. 긱블은 자신들이 직접 기획하고 제작한 물건들을 영상에 담아 업로 ... ...
- [중국유학일기] 한국보다 짧은 방학 ‘알바’ 대신 ‘열공’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한국의 거의 모든 대학이 그렇듯 우한대도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이 있다. 여름방학은 7월 중순부터 9월 초까지 7주가량, 겨울방학은 1월 중순부터 2월 중순까지 5주가량 된다.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이 모두 두 달 이상인 한국 대학들과 비교하면 짧은 편이다. 가령 크리스마스 전에 겨울방학이 시작 ... ...
- [과학뉴스] 틀린 그림 찾기? 다른 유전자 찾기!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오른쪽 사진에서 한 마리는 흰물떼새(Chara drius alexandrinus), 다른 한 마리는 흰얼굴물떼새(Charadrius dealbatus)다. 둘은 마치 형제처럼 닮았지만, 유전적으로는 큰 차이를 보인다. 중국 중산대와 영국 바스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유전체 분석을 통해 두 물떼새가 오늘날과 같이 진화한 데는 서식지가 큰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