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주변
테두리
근처
외주
연변
언저리
d라이브러리
"
둘레
"(으)로 총 671건 검색되었습니다.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된다.달의 겉보기 형태가 매일 변화하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잘 알고 있다. 달은 지구
둘레
를 돌고 있으므로 그때그때의 위치에 따라서 전체가 보이기도 하고 일부분만 보이기도 한다. 달의 위상은 '월령'(月齡)으로 표시 한다.태양과 지구 사이에 달이 오게 되면, 달은 태양과 함께 동쪽에서 떠서 ... ...
먼지의 영향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기리지만, 지구는 대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떤 태양빛은 그 안에서 굴절되어
둘레
를 굽어 지나간다. 통과해 지나가는 빛의 파(波)는 대개 파장이 긴 적색광이므로 개기식 동안 빛이 가려진 달의 모습은 음산하고 거무스름하게 붉은빛을 띤다.가장 최근의 월식은 극히 어두웠다. 1991년 필리핀의 ... ...
독특한 삶 속에서도 빛나는 업적 남긴 20세기초 수학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우리가 외우고 있는 값이다. 보통의 계산에서는 이 정도면 충분하고 만약 우주라는 구의
둘레
를 수소원자 크기의 정확도로 계산한다고 하더라도 소숫점이하 39자리면 충분하다.그런데 역사적으로 보면 이 값을 더 정확히 계산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이 기울여졌음을 알 수 있다. 1874년에는 섕크스(W. ... ...
5. 87㎞돌아 입자를 충돌시키는 SSC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양성자를 충돌시켜 질량중심계 에너지를 16TeV까지 얻을 수 있는 원형가속기이다. 기존의
둘레
27㎞의 전자 양전자 가속기인 LEP의 지하 터널을 이용할 계획이므로 SSC보다는 빠른 시간 내에 완공될 가능성이 크다. 이 LHC 역시 유럽의 많은 나라들이 참여 중이다.입자물리 가속기가 우리 실생활에 무슨 ... ...
규슈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철도와 도로가 달리고 있다. 관광의 중심은 아소5악중 유일한 활화산인 중악이다.
둘레
4km, 깊이 1백25km의 거대한 원추상의 분화구에서는 수증기와 유황을 분출한다.살아있는 30만년의 역사 외륜산의 밑에서 볼 수 있는 용암은 3천만 년 전에 이 지역이 류큐열도에 연결되는 해저화산대였으며,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코페르니쿠스의 주장처럼 태양이 우주의 중심이 돼 지구를 포함한 다른 행성들이 그의
둘레
를 돌고 있는 것이다. 어쨌든 이로써 무려 1천6백년여년에 걸친 우리 지성의 수학적 완벽성에 대한 짝사랑은 비극적으로 끝났다.수학적 이론과 실제는 다를 수 있다그렇다면 여기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 ...
태극마크를 둘로 나눠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④ 정사십면체(4) 크기가 같은 두 개의 동전 A, B가 있다. 동전 A를 고정시키고 동전 B를 그
둘레
를 따라 회전시킨다. 완전히 한바퀴 돌아 동전 B가 원래의 위치에 왔을 때 동전 B는 몇 번 회전했을까?① 1 ② 2 ③ 3 ④ 4(5) (그림)과 같은 태극이 있다. 직선 하나를 그어서 두 부분을 각각 2등분하고 싶다. ... ...
블랙 홀 탱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천문학자들로 하여금 시그너스 X-1이라 불리는 별이 나란히 회전하는 거대한 푸른 별
둘레
로부터 물질을 흡수하는 블랙홀이라고 단정짓는데 도움을 주었다.또 다른 블랙홀이라고 추정되는 것들도 요즘은 자주 나타나곤 한다. 우리의 은하계에서도 둘이상의 후보들이 발견됐다. 1975년 모노세로 ... ...
더 많은 복제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일으키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연결된 단백질에서 변화가 일어나 세포핵
둘레
에 막을 형성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세포분열이 가능토록 만드는 것이다. cdc2 단백질은 모든 세포들에서 나타나기 때문에(사람의 cdc2 단백질은 가장 원시적인 효모와 63% 동일하다고 알려져 있다) 어쩌면 지구상의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나일 강가에 살던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이 별은 대략 B.C.5000년 경 북극
둘레
를 회전하던 것을 멈추고 북극성이 되었으며 그후 수세기 동안 이집트인들에게 있어서 북쪽에 대한 존경의 대상으로 매우 신성시 되었다. 당시에 건축된 이집트의 많은 사원들은 이 별을 향하도록 지어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