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생물 나비발견 위치 제주 애월읍 하정주 매니저날개의 무늬가 마치 다른 동물의
눈
처럼 보이지 않나요? 궁금해요!서진하 대원헤클보이 팀 Q제 신발에 붙어 있던 이 애벌레는 어떤 종인가요? 추헌철 나비 연구원이 애벌레는 거세미나방의 애벌레로 보입니다. 나방은 종류가 워낙 ... ...
[특집] “3년 동안 남긴 400쪽 메모의 결실이에요!”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가진 기본적인 의문에 대한 답을 지니고 있어서 매력적이에요. 그리고 그냥
눈
으로 봐도 아름답지 않나요? Q. 비눗방울 문제는 언제부터 풀기 시작했어요? 니먼 : 저와 밀먼 교수는 석·박사 시절부터 여러 학회에서 만나 서로 알고 있었어요. 그러다 2017년 제가 밀먼 교수가 있는 ... ...
[화보] 현미경이 포착한 환상적 아름다움 - 세포 속을 탐험하는 예술가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예술이 만났다.
눈
으로 보는 것보다 더욱 화려하고 아름다운 현미경 속 세상이다. 일본의 카메라 제조 기업 니콘(Nikon)은 2022년 10월 13일 ‘제4 8회 니콘 스몰월드 사진전’ 수상작들을 발표했다. 이번 대회에는 전세계 72개 나라에서 1300개 이상의 작품이 모였다. 일부분을 촬영한 사진을 이어붙여 한 ... ...
블랙홀 씨, 우리 밥 한번 먹죠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들자고 .” 포크를 들어 올린 블랙홀이 기자 쪽으로
눈
짓했다.“스파게티 먹자면서요.”
눈
앞에 있는 건 스파게티가 아니라 별이다. 블랙홀은 ‘으쓱’하고는 거대한 포크로 별을 집어 올렸다. 포크 끝에서 별이 길게 늘어졌다. 썰물과 밀물이 일어나는 이유는 달이 바닷 물을 끌어당기기 때문이다. ... ...
미래세대 해양탐구 프로젝트 I 부산, 청년과 바다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우 과학커뮤니케이터가 이어서 인공위성 키트를 하나씩 나눠줬습니다. 학생들의
눈
이 반짝였습니다. 기자도 자리에 앉아 같이 인공위성을 만들어봤습니다. 회색 태양광 패널이 장착된 날개를 먼저 만들고 본체를 차례로 조립했습니다. 목공 풀만 가지고 본체 크기가 10cm 정도 되는 나만의 ... ...
한
눈
에 보는 수학동아 교과 단원 맵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
[이달의 꼼지락] 손에 손잡고 지는 해에 치얼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5살 크리스마스 아침을 여전히 기억합니다. 마침 전날 밤에
눈
이 내렸죠. 처음 맞는 화이트 크리스마스에 신이 나서 맨발로 마당을 뛰어다닌 기억이 생생합니다. 산타할아버지가 두고 가셨다며 부모님이 안겨주신 장난감의 차갑고 매끄러운 감촉도요. 떠올릴 때마다 마음이 포근해지는 소중한 ... ...
[힉스 10년] 우리는 무엇을 아는가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50년간 이론상으로만 존재하는 골칫덩이였기 때문이다. 그런 힉스의 존재를
눈
으로 관측하고 10년, 우리는 힉스를 얼마나 알게 됐을까. 힉스의 정체를 파악하려는 지난 10년의 노력과, 앞으로 10년 힉스가 풀어주길 바라는 물리학 난제들을 짚어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힉스 10년] ... ...
당신은 슬기로운 사람인가요 ?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이는 변화의 원인은 돌아보지 않은 채 기후변화에 적응하길 요구하고, 피해를 막는 데만
눈
을 돌리게끔 만든다. 기후변화에 대해 안다는 것은 그 심각성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다.우리가 ‘정말로 기후 위기에 대해 알고 있는지’를 묻는 책이 있다. 2022년 8월 26일 한국에서 출판된 ‘DK 브레이킹 ... ...
[DIGST@융복합 파트너] 유전체의 3차원 구조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가능한지 궁금하지 않으세요?”김유리 뉴바이올로지학과 교수는 초롱초롱 빛나는
눈
으로 연구 분야를 소개했다. 9월 27일, 분자후성유전학 연구실에서 유전체 구조 및 항상성 연구를 하는 김 교수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서 만났다.김 교수는 이미징 기술과 단백질공학을 이용해 핵 안에 있는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