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직접 만들면 전율! 미궁 게임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저기 저 사람이 아까 그 문제를 만들었다는 거지? 폴리매스 회원처럼 문제를 내는 재주가 탁월한데…. 그런데 아까는 문제가 방에 숨겨져 있었는데 이번엔 왜 컴퓨터야? 미 ... 유명 게임 BJ도 참여할 거야! 너희도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리고 싶다면
꼭
내가 만든 미궁 게임을 즐겨줘~ ... ...
과학동아 12월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관련이 깊었기 때문입니다. 전체 암의 15%에서 알트가 확인된 겁니다. 암 정복을 위해
꼭
필요한 알트에 대해 전문가가 직접 설명합니다. 야생동물 밀렵꾼 검거, 과학에게 맡겨라! (86p) ‘바다거북 알이 정력에 좋다’ ‘코뿔소 뿔은 암을 치료한다’ ‘천산갑 비늘이 만병통치약이다’…. 근거 없는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를 이끌어나갈 계획입니다. 핵융합 에너지가 미래사회를 위해
꼭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선 현재 인류에게 가장 큰 위협으로 다가온 기후위기 해결에 가장 큰 공헌을 할 수 있겠죠. 기후위기의 원인으로 지목된 이산화탄소는 주로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발생합니다. ... ...
[과동 키즈] 과학과 소설 두 세계를 가로지르는 일 '김초엽 SF작가'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뜻이 있는 학생들만 입학시킨다는 이야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막상 학교에 가서는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것을 알게 됐다. 입학할 때는 모두 약속이라도 한 듯 연구직을 생각한다던 선후배, 동기들도 시간이 흐르면서 각자의 길을 찾아 나섰다. 나도 내 길을 연구만으로 제한하고 싶지는 않았고, ... ...
남극 생태계의 핵심! 크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생물량과 분포의 변동을 연구하는 것은 남극 생태계의 유지와 변화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하다”고 설명했지요.올해는 해양보호구역(MPA)*으로 2017년 지정된 로스해 외에도 아문젠해에서 크릴 생물량을 파악했어요. 손 박사과정생은 “올해 로스해에서는 해빙이 빨리 얼고, 날씨도 좋지 않아 ... ...
지구의 기록, 바닷속에서 추적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위로 떠오르도록 돼 있어요. 장비가 바다에 유실되지 않게 수거하기 위해서라도 올해
꼭
북극을 가야 해요(웃음). Q북극을 연구하는 이유는 뭔가요? 북극권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기상은 북극에 큰 영향을 받아요. 북극은 작은 환경의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이 지역을 연구해 다가올 ... ...
서울시 3D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물론 표지판과 주변 사물의 정보까지 담겨 있다. HD 지도는 자율주행차 운행을 위해
꼭
필요한 기술로 꼽힌다. 자율주행차는 센서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자신의 위치와 주변 위험 요소를 인식한다. 하지만 현재 자율주행차에 탑재된 센서로는 한계가 있다. 비가 오는 등 기상 조건이 나쁘거나 센서를 ... ...
a-school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에이스쿨 교육과정을 통해 어떤 진로를 꿈꾸든지 프로그래밍에 대한 관심과 지식은
꼭
필요하다는 걸 깨달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물론 모든 프로그램은 인터넷에 공개돼 있기 때문에 스스로 찾아서 공부할 수 있지만 에이스쿨을 활용하면 효율적으로 다양한 영역에 쓰이는 코딩법을 배울 수 ... ...
불꽃 축제 대신 방구석 빛 축제에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각각 방출합니다.원하는 색을 골랐다면 그 안의 물질들을 분리할 차례인데요. 그전에
꼭
환기가 잘 되도록 창문을 열고 손에는 비닐장갑을 착용해주세요. 유리관 속에 들어있는 다이페닐 옥살레이트가 유리관 밖의 과산화수소와 반응할 때 페놀이라는 유독한 물질이 5ppm(1ppm은 0.0001%) 이하의 아주 ... ...
[통합과학 교과서] 장미가 잘 자라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쓰인답니다.그렇다면 빛이 강하고, 이산화탄소가 많을수록 광합성이 활발히 일어날까요?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강한 빛을 받을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하지만, 일정 지점에 도달하면 더는 증가하지 않거든요. 광합성량이 최대점에 이르렀을 때의 빛 세기를 ‘광포화점’이라고 해요. 이산화탄소도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