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d라이브러리
"
김
"(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만성 B형 간염, 잘 안 낫는 이유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항바이러스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유전자 TRIM22의 전사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가 만성 B형 간염 치료제 개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거트’ 3월 24일자에 실렸다. doi:10.1136/gutjnl-2016-31274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통신그룹 NTT가 105km의 거리에서 양자암호 원격전송 실험에 성공했다.
김
교수는 “양자암호를 전송하는 것은 양자얽힘을 이용해 떨어져 있는 두 양자비트의 위치에다 정보를 옮겨 놓는 것”이라고 말했다.양자 원격전송은 양자정보를 만들 때 쓰는 양자중첩과 달리 양자 비트 2개가 가진 상관관계인 ... ...
[과학뉴스] 거미집 모방해 바이오센서 능력 UP!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분해능을 높여왔지만, 분자의 확산 속도가 느려 센서의 성능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김
철기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팀은 단백질과 DNA 등 바이오 분자에 나노 크기의 초상자성 입자를 부착했다. 초상자성입자는 주변에 자기장이 있을 때만 자석으로 변하는 입자다. 또 거미줄 모양을 본 따 미세 ... ...
[Future] 꽁꽁 언 그곳의 생명 비결 ‘얼음 화학’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중 아이오딘 성분은 오존을 감소시킨다. 또 구름 생성을 촉진하는 미세입자로도 쓰인다.
김
선임연구원은 “매년 계절에 따라 미국 면적의 두 배가 넘는 면적의 해빙이 얼었다 녹는다”며 “해빙의 화학 반응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더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많아지기 마련이다. 주로 먹는 음식에 따라 장내미생물의 분포는 눈에 띄게 달라진다.
김
교수는 “고기를 많이 먹으면 장내에 후벽균이 늘어나고, 채소를 많이 먹으면 박테로이데스의 미생물이 늘어난다”며 “장수촌의 노인과 어린 아이들은 도시에 사는 노인들에 비해 후벽균의 비율이 현저히 ... ...
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증명되면 연속체 가설은 콰인의 유형 중 참된 역설이나 거짓된 역설로 분류될 것이다.
김
교수는 “불완전성의 정리는 인공지능이 골드바흐의 추측이나 연속체 가설처럼 아직 참거짓이 결정되지 않은 명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장한다”면서, “다만 인간이 참거짓을 결정한 문제는 ...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나무까지 포함시켜야 좀 더 정확한 안전성 검사를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김
영문 전북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풍동 실험을 하는 데 예산이 꽤 많이 든다”며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과 경제성을 고루 검토해 결정할 문제”라고 말했다 ... ...
[Issue] 두리안 ‘ X냄새’가 궁금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상온에 옮겨도 회복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DOI:10.1073/pnas.1613910113). +더 읽을거리
김
영석 외 ‘생각이 필요한 식품기능성론’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빛깔 좋은 딸기가 몸에도 좋다’ (2004.4)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0404N040‘과학으로 ...
수학으로 흑역사 지우기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간혹 요청을 들어주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우리나라에서만 보이지 않게 차단한다.
김
대표는 “특히 청소년은 정보 유출의 심각성을 잘 모른다”며 “디지털 기술이 보편화된 사회에 사는 이상 어쩔 수 없는 정보 유출도 있겠지만, 스스로 경각심을 갖고 개인 정보를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 ...
[Issue] 음식과 약 사이 위험한 ‘케미’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많지만, 카페인 흡수를 더디게 하는 성분인 탄닌이 들어 있어서 괜찮다고 말한다. 하지만
김
형수 박사는 “카페인을 흡수하는 속도가 달라질 뿐이지 결국 결과는 비슷하다”고 말했다. 약을 먹을 때는 커피와 차 모두 웬만하면 피하는 게 좋다는 얘기다. 3. 장기 복용 환자라면 음식과의 케미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