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증
공헌
증정
기부
증여
공연
제시
d라이브러리
"
기여
"(으)로 총 1,693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응용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분야와의 융합을 도모해야 하는 시대가 왔다. 앞으로 융합의 시대에 세상을 바꾸는 데
기여
하고 싶다면 ‘나노응용시스템공학’을 공부해볼 것을 권한다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가능해져 철새 연구가 더 활성화될 것”이라며 “철새 관찰과 연구의 저변 확대에
기여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3일간 함께 지낸 철새 연구자들의 바람은 거의 하나였다. 더 많은 사람들이 새를 기피대상이나 사냥감으로 보지 않고 우리 주변 자연의 일부로 바라보는 것이다. 또 우리나라를 찾는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확립하는 데 큰 공헌을 했지만 ‘생명이란 무엇인가’로 생명과학 발전에도 지대한
기여
를 한 셈이다.벤저 교수는 알투(rⅡ) 파지 변이체라고 알려진 박테리오파지(박테리아에 감염하는 바이러스)를 연구해 유전자가 DNA조각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당시는 왓슨과 크릭이 DNA 이중나선의 구조를 밝힌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무루 교수가 개발한 펄스증폭기술(CPA, Chirped Pulse Amplification)이 고출력 레이저 탄생에
기여
한 바가 크다”고 말했다. 펄스 레이저란 마치 맥박이 진동하듯 빠른 간격으로 빛으로 발사되는 고출력 레이저다.레이저는 1960년 루비 레이저가 등장한 이후부터 꾸준히 출력이 증가했다. 하지만 1970년대에 ... ...
대한수학회상 교육상·논문상 수상자 발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받았습니다.한편 논문상은 지난 3년간 발표된 논문 중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학 발전에
기여
한 사람에게 수여합니다. 논문상을 수상한 송용진 교수는 대수학의 군에 관한 연구를, 엄상일 교수는 그래프 이론과 관련된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 받았습니다 ... ...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 좋은 생각입니다(웃음). 아무튼 창의연구사업은 우리나라 과학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큰
기여
를 했다고 자부합니다. 1997년 선정된 포스텍 김기문 교수는 2008년부터 화학저널인 ‘앙게반테 케미’의 편집위원이고 김빛내리 교수도 올해 ‘셀’의 편집위원으로 선임됐습니다(현 교수도 2005년부터 ... ...
전공에 맞는 일관성 있는 활동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대해 스스로 명쾌한 답변이 마련될 것이다. 2. 과학기술을 연구하며 인류 발전에
기여
하고 싶다면 무엇보다 과학자로서의 전공수월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 또한 독서를 통해 여러 분야의 과학 발전상을 접해보고 전공하고자 하는 분야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문과와 달리 이과계열의 경우 ... ...
허블,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담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초신성 42개를 관측해 과학계의 최고 난제인 암흑에너지의 비밀을 한 꺼풀 벗기는 데
기여
했다. 지난해 대대적인 수리와 첨단 장비 장착으로 거듭난 허블우주망원경은 빅뱅 이후 6억~8억 년 무렵의 유년기 우주의 은하들을 발견하기도 했다. 진정한 허블 계승자는 누구? 지난 20년 동안 멋진 우주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93년 귀국한 이 교수는 곧바로 한국천문학회 총무를 맡았다. 천문학 후진국이었던 국내에
기여
할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1990년대 중반부터 NASA는 천문학 논문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미국에서 발간되는 논문만 등록돼 있었다.천문학 선진국과 협력하는 유일한 기회라고 여긴 이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한국우주과학회 창립을 주도하며 한국 천문학 발전과 함께했다. 조 박사가 무엇보다
기여
한 부분은 과학 대중화였다. 시원한 웃음과 카랑카랑한 목소리에 풍부한 지식을 갖춘 조 박사는 방송을 누비며 천문학을 포함한 과학 전반을 알기 쉽게 대중들에게 전달했다. 국내 과학자로는 가장 많은 17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