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곧"(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갈 것이다’라는 명제가 있다면 나는 아직 집에 가지않았으니 참이라고 할 수 없지만, 곧 갈 수도 있으니 거짓이라고 할 수도 없다. 이런 명제는 ‘가능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진릿값이 두 개가 아닌 세 개가 된 것이다.이런 바람은 컴퓨터 분야로까지 퍼졌다(수학과 컴퓨터는 뗄래야 뗄 수 없는 ... ...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어느 방향에서 보더라도 온도가 2.73K으로 동일하다. 즉, 등방하다. 등방한 분포는 곧 균일하다. 따라서 우주는 초기에 상당한 정밀도로 균일했을 것이다.현재 우주는 어떨까. 그동안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 같은 외부은하 탐사자료를 활용해 근처 우주 물질이 실제로 균일하게 분포해 있는지 ... ...
- Part 6. 특이점 없애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있다. 그러나 이 이론이 예측하는 여러 현상이 실제 관측과 맞아 떨어진다면, 그것이 곧 간접 증거로 채택될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빅뱅이론의 잃어버린 조각들Intro. 빅뱅마불게임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Part 3. 중력 수정해 가속팽창 ...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기온이 높아 대기 중 수증기가 포화상태에 이르기 어렵기 때문에 가느다랗게 생겼다가 곧 사라진다. 하지만 겨울에는 상대습도가 높아서 굵고 오래가는 비행기구름이 나타난다. 중국발 초미세먼지가 우리나라 하늘 가릴 것ETH의 마르틴 와일드 교수는 지역에 따라 1m2당 들어오는 태양복사량이 ...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아니라고!하버드대에 입학한 트리버스는 수학을 전공으로 택했다. 그러나 트리버스답게 곧 흥미를 잃어버렸다. 수학은 여전히 아름답고 멋있었지만 실생활에는 당장 쓸모가 없어 보였기 때문이다. 물리학을 듣긴 했지만, 그에겐 맞지 않는 옷으로 여겨졌다. 화학과 생물학은 고교 때부터 대학 졸업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바다가 있는 그곳요.“언제까지고 여기 살 수 없잖아. 지구는 끝났어. 먼저 가 있으면 곧 따라갈게.”“뭐라고? 거기가 어딘데 우리더러 가서 죽으라는 거냐? 백 년은 일러!”“아냐. 내가 다 준비해놨어. 설명을 다 들으면 화가 안 날 거야. 두 사람은 타기만 하면 돼……”흥분해서 남선 오빠를 발로 ... ...
- [Culture] 미래사회에도 인간이 필요할까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설치된 또 다른 모니터에는 의미를 알 수 없는 추상적인 신호가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곧이어 뒤편에서 ‘지직 지지직’하는 기계음이 들려왔다. 남자의 감정이 3D 프린터로 출력되고 있었다. 엉뚱하게 들리지만, 색다른 미디어 아트 전시회의 한 장면이다.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아트센터 나비가 ... ...
- [출동! 섭섭박사] 화산모형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석고가루가 골고루 묻어 있는 붕대를 물에 적셔 종이로 된 틀 위에 발랐답니다. 그러자 곧 석고가 딱딱하게 굳으며 멋진 화산모형이 만들어졌죠.석고와 물이 닿으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석고의 주성분은 황산칼슘(CaSO4)으로, 깁스붕대나 분필을 만드는 데 많이 사용되는 재료예요. 황산칼슘은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악어농장 주인 ‘ 아거테 가나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크게 벌리고 쫓아올걸?” 간신히 문을 닫고 무사히 입구를 통과한 썰렁홈즈. 하지만 곧 악어 떼가 우글거리는 장소에 도착하고 마는데…. 그때 악어 떼들 사이에서 악어 분장을 하고 있던 ‘아거테 가나올라’가 큰 소리로 말했다.“이 악어의 방을 지나가려면 방법은 하나! 문제를 풀어서 다리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아쿠아플라넷63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살고 있어요.“수달은 아주 깨끗한 1급수에서만 살아요. 그래서 수달이 살면 그곳이 곧 1급수라는 뜻이기도 하죠. 수달과 같이 그곳의 환경 조건을 알려 주는 생물을 ‘환경지표종’이라고 부른답니다.”한참 수달의 술래잡기를 보고 있을 때, 오찬헌 아쿠아리스트가 양동이를 들고 수족관에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