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술
기입
d라이브러리
"
작성
"(으)로 총 1,29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게놈프로젝트 99% 완성
과학동아
l
200103
구성된 다국적팀과 미국의 생명공학 벤처 셀레라가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해 인간의 게놈지도를
작성
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새로운 세계를 여는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성과를 낱낱이 살펴보자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
과학동아
l
200103
포함되는 구조 단백질과 신호전달과 면역기능에 관련된 단백질들이다.인간의 게놈지도
작성
이후의 생물학 연구는 프로테오믹스(Proteomics)라고 불리는 대단위의 단백질 연구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다. 그런데 이런 단백질 연구가 과거에는 존재하지 않던 전혀 새로운 분야는 아니다. 단지 그동안 ... ...
한국인 과학자 게놈프로젝트에 기여
과학동아
l
200103
함께 인간의 암과 질병에 관련된 유전자 등의 위치를 표지한 세부 게놈지도를
작성
해 발표했다.이 세부 게놈지도에는 7천6백개의 표지가 붙어있다. 이 세부지도는 이번에 거의 완벽하게 밝혀진 30억 개의 염기서열을 표지와 통합시켜 상세 지도를 만든 것이다. 이 표지는 게놈의 세계에서 주소에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3 현장취재 영국 런던 다국적팀 기자회견장
과학동아
l
200103
기본적으로 셀레라가 독창적으로 개발했다는 이른바 ‘샷건’방식이 이번 게놈 지도
작성
에서 주도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오히려 다국적팀의 게놈 정보를 이용해 보완했다는 것이다. 다국적팀은 셀레라사 게놈 정보의 약 60%는 자신들의 정보를 ‘복제’해서 해독으로 얻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
과학동아
l
200102
구사하는 컴퓨터를 만든다는 일은 대단히 어려운 과제다.마이크로소프트사의 문서
작성
소프트웨어인 워드 97의 문법검사 부분을 만든 ‘자연어 처리 그룹’은 현재 문장의 구조와 개념을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가 ‘저녁상 차려 놓았습니다’와 ‘밥 ... ...
껌 8분 이상 씹으면 스트레스 받는다
과학동아
l
200012
하게 하는 빠른운동프로그램을
작성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점점 씹는운동프로그램이
작성
되는 곳이 대뇌기저핵에서 소뇌로 이전하는 것이다.이 둘의 상반된 정보가 시상에서 모아져 대뇌피질로 전달되면, 여기서 껌 씹는 속도와 리듬이 최종적으로 결정된다. 이 정보는 다시 뇌간의 ‘턱운동 리듬 ... ...
로켓 닮은 신발 뒤축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12
0g대인 코오롱의 카오스 신발은 1998년 로테르담마라톤에서 이봉주선수가 한국신기록을
작성
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한편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황영조 선수가 가볍게 제작된 아식스 마라톤화를 신고 우승하기도 했다.2000년 시드니올림픽에서는 미국의 여자육상선수 매리언 존스만을 위한 ... ...
정상인 능가하는 감동의 스포츠드라마 파랄림픽
과학동아
l
200012
보관면적을 줄이기 위해 접을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에 비해 스포츠용 휠체어는 조
작성
과 민첩성이 우수하고 고정식이다.스포츠용 휠체어의 바퀴는 지면과 수직인 선에 대해 안쪽으로 비스듬히 6°-12°가 기울어 바닥쪽이 넓고 위쪽이 좁다. 이처럼 바퀴를 비스듬히 한 장치(캠버)는 기저면을 ... ...
3. 여신 아르테미스의 신전
과학동아
l
200012
유명한 전시품 중 하나다. 우드는 자신의 발굴을 토대로 아르테미스 신전의 복원도를
작성
했다. 1884년까지 신전의 발굴에 헌신했고 70세에 심장발작으로 사망했다.발굴은 1980년에도 계속됐다. 오스트리아 고고학팀은 신전으로부터 서쪽에 위치한 거대한 제단 근처에서 고대의 해변을 발견했고 작은 ... ...
오존구멍 위험 알린 파먼
과학동아
l
200012
서있다. 1985년 네이처 5월호에 영국의 남극조사팀을 이끈 파먼과 그의 동료들이 함께
작성
한 보고문이 실렸다. 이 글에는 남극지방 상공 성층권의 오존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는 관측결과가 담겨 있었다. 이 발견으로 인해 ‘오존 구멍’이라는 용어가 급속도로 퍼져나가면서 오존층 파괴의 원인과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