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균형
조화
상칭
d라이브러리
"
대칭
"(으)로 총 742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넷 리와 함께하는 당구물리학
과학동아
l
199711
누가 샷을 하더라도 네 개의 공 모두가 포켓에 들어간다. 1번, 2번 공은 수구를 중심으로
대칭
으로 배치하되 접촉면이 포켓을 향하고 있다. 4번 공은 D포켓 방향으로 접하게 하고 그에 90°방향을 그었을 때 3번공이 C포켓을 향하도록 해놓았다. 이 배치는 정교한 샷이 필요하지 않고 다만 수구가 1,2번 ... ...
2. 에피소드로 본 우주시대
과학동아
l
199710
1단 엔진으로 무려 30개의 엔진을 이용했다. 30개의 엔진이 동시에 점화되고 좌우
대칭
되는 엔진이 같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돼야 하지만, 당시로서는 제어하기 불가능한 방식이었다.옛소련에서 개발한 진정한 달로켓은 1987년에 개발됐다. ‘에너르기아’라는 이 로켓은 지구궤도에 32t의 ... ...
2. 벌 날개짓 모방한 선박추진장치
과학동아
l
199708
그러나 몸통을 중심으로 놓고 보면 각 날개의 운동은 서로
대칭
으로 볼 수 있다. 이
대칭
선에 수로벽을 설치해 한 개의 날개에 정해진 동작을 시키면 유체역학적으로 거울의 원리에 의해 와이즈 포 메커니즘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이 추진모델이 실제 배에서 제대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 ...
2. 현대 통일장이론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707
의 힘이나, 혹은 초
대칭
입자들에 의한 초
대칭
현상들이 그것이다. 사실 제5의 힘이나 초
대칭
성의 발견은 (만일 가능하다면) 20세기 이론물리학의 마지막 개가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통일장이론의 연구는 이론물리학자들의 허망한 백일몽이 아니라 미지의 세계를 탐구하는 중요한 도구이다.우리는 ... ...
1. 만물의 법칙이 등장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707
생각함으로써 많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이를 끈이론이라고 부른다. 여기에 초
대칭
성을 포함시킨 것이 초끈이론(supers-tring theory)이다. 아직 초끈이론의 성공여부는 미지수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론들이 발전해 결국 자연의 힘을 하나로 통일하고, 하나의 법칙(Theory of Everything)으로 우주의 모든 ... ...
3. 통일장 이론의 스타들: 뉴트리노 연구의 대가 김정욱 박사
과학동아
l
199707
일단 뉴트리노의 질량이 알려지면 통일장이론의 상세한 부분을 알아낼 수 있다. 초
대칭
성을 포함한 통일장이론도 유일한 것은 아니다. 나는 어느 모델이 과연 측정된 뉴트리노 질량을 설명할 수 있느냐는 것을 연구할 계획이며, 이미 연구를 시작했다 ... ...
3. 통일장 이론의 스타들: 초끈이론 개발한 존 슈바르츠
과학동아
l
199707
제기되는 우주상수의 문제를 지니고 있다.최근 무엇을 연구하고 있는가?초끈이론은 초
대칭
성을 이용해 자연계에 존재하는 입자와 힘을 끈의 요동으로 설명한다. 그런데 1차원인 끈보다 2차원인 면이 통일장이론을 설명하는데 훨씬 편리하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래서 태어난 이론이 11차원의 M이론 ... ...
과학으로 풀어본 운명철학 손금
과학동아
l
199706
개인을 식별할 때 이용될 수 있다.대부분의 사람에게 오른손과 왼손의 손금은 거의 좌우
대칭
이다. 역술가마다 어느 손을 보는 것이 중요한가에 대해 의견의 차이가 있지만 이런 구별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는 말이다.손금이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개인마다 겪어야 할 운명과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 ...
바다탐험
과학동아
l
199706
원시적인 단일 동물군(群)의 한 부류에 해당한다. 해파리도 여기에 속한다. 이 동물들은
대칭
형 몸체와 가시를 가진 촉수, 가운데 위치한 입 등을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산호의 실제 구조는 수백, 수천개의 미시동물이 집단을 이뤄 성장하는 형태다. 이렇게 작은 산호 폴립이 모래톱을 구성한다. ... ...
오른손이 하는일 왼손도 한다
과학동아
l
199705
가지고 있으며, 이 숫자는 오른손잡이 대 왼손잡이의 비율과 일치한다. 학자들은 대뇌 비
대칭
성과 관련된 연구의 원조로 19세기에 활동한 프랑스의 의사 브로카를 꼽는다. 1861년 그는 왼쪽뇌의 전두엽 뒤쪽에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서 발음능력이 상실되는 실어증 증상을 발견했다. 이 때문에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