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태계의 사고(史庫), 자연사박물관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및 평생교육에 이바지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급속히 사라져 가고 있는 우리나라의 많은
생물
들을 수집, 보존함으로써 우리의 후대들이 한국의 자연의 개성과 특징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그리하여 우리 고유의 자연에 대한 이해와 가치관 정립을 통해 주체적 문화의식과 자긍심을 ... ...
PART3 쓰쿠바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신제품개발 등의 응용연구를 행하고 있다.
생물
계는 농업기술연구소 축산위생시험장 농업
생물
자원연구소 농업환경기술연구소 등 16개의 연구기관이 입주해 있다. 이들 연구기관은 주로 농림수산성 및 보건성 산하의 국립연구기관들로 기초연구 및 응용 연구를 활발히 행하고 있다. 건설관계로는 ... ...
발 달린 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늑골, 그리고 긴 나선형의 등뼈를 가지고 있었다.바실로사우루스는 약 4천만년 전의
생물
이므로 바다속 고래로 처음 진화된 1천만년 이후가 되니까 물속에서 헤엄치고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1천만년이 흐른 그때까지도 뒷다리를 간직하고 있었던 것이다. 다리뼈들은 분명히 있으며 이는 틀림없는 ... ...
붕괴위기에 처한 마다가스카르섬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1억6천만년전 대륙으로부터 떨어져나왔기 때문에 독특한 진화를 한 동식물이 많아 '
생물
학 표본실'로 불리고 있다. 70~80%는 고유종. 예를들면 카멜레온만해도 세계의 3분의2에 달하는 종이 이 섬에 살고 있다. 그렇지만 유럽인들이 들어오기 시작한 17세기 이후 키가 3m가 넘는 에피오르니스 ... ...
PART III 최첨단 암치료법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미세 전이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약물요법이 최근 20년간 시도됐다. 아울러 암의 분자
생물
학적인 구조에 대한 이해가 증진됨에 따라 가능한 항암 약물치료를 수술 후 일찍 시작하려는 새로운 시도도 이루어졌다.예를 들면 유방암이 발병해 2기상태인 환자(유방암의 암덩어리가 2㎝보다 크거나 ... ...
아담도 흑인이었나?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세계 각지에서 서서히 현대인으로 진화해 왔다'는 기존 진화론을 뒤엎었다. 그 후 분자
생물
학자들은 '아담은 언제 어디서 왔을까'라는 의문을 쫓기 시작했다. 만약 아담이 이브와 동시대인임을 밝혀내지 못한다면 화석을 무기로 한 진화론자들의 반격을 막아낼 수가 없기 때문이다.유전학자들은 ... ...
강원도 민통선 북방지역의 식물생태계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고층습원(高層濕原)이다.고층습원이란 한랭한 연못이나 소택등지에서 식물의 유체나 미
생물
이 분해되지 않고 계속 퇴적된 이탄(泥炭)층이 수면 위로 올라와 볼록하게 부풀어 오른 습지를 말하는 것으로 이곳에서만 서식하고 있는 특수한 식물이 많다. 교사들 중에는 이미 몇차례 다녀간 이가 있었고 ... ...
PART II 5대암의 증상과 예방책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암유전자를 활성화 시켜 간세포의 암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이는 분자
생물
학적인 기술을 이용해 간암세포에서 B형바이러스의 암유전자를 발견함으로써 증명됐다.간암의 증상은, 대부분 환자가 간경변증과 합병해 발생하므로 간경변증으로 생각하고 있다가 암의 크기가 커지면서 ... ...
강원도 민통선 북방지역 식물탐사를 마치고 '한국특산식물의 정리와 보호육성 시급해…'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활동을 하고 있는데 현재까지는 논문을 발표하고 논문집을 만드는데 그치고 있습니다.
생물
로 연구범위를 좁힌다면 활성화될 여지가 더 있을 것이란 생각도 해봅니다.홍정-이곳에 오기 전에 도서관을 찾아가서 용늪의 자료를 찾아 봤으나 얻을 수가 없었습니다. 금강초롱 참배암차지기 토현산 등은 ... ...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밝혀져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주역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샌디에고 분교의 신경물리학자 스티븐 영과 세포신경
생물
학자인 마크 엘리스맨.그들은 먼저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환자의 뇌조직에서 샘플을 채취했다. 그리고 그 조직을 0.0001인치 두께로 얇게 잘랐다. 그런 다음 고압전자현미경에 놓고는 세포에 초점을 맞추었다. 모든 ... ...
이전
605
606
607
608
609
610
611
612
6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