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방법으로 분석이 어려운 일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단백질에는 인산이나 아세틸 등 매우
작은
분자량의 물질이 붙어 단백질의 기능을 켜고 끄는 역할을 한다. 이런 미세한 화학적 변화는 기존의 생화학적 방법으로는 알아내기 매우 어렵다. 이를 밝히는데는 새로운 프로테오믹스 방법이 매우 ... ...
1 우리 위성 쏘아올릴 액체로켓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구할 수 있고 실험방법도 배울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연구원들은 1994년 11월 손바닥보다
작은
추력기를 여행용 가방에 넣고 중국 상하이로 갖고 가서 성공적으로 실험했다.한편에서는 좀더 크고 연료와 산화제를 모두 액체로 사용하는 진짜 액체추진제 로켓엔진을 설계하기 시작했다. 이 계획은 액체 ... ...
혈액 한방울로 범인 찾는 방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흩뿌려지는 장면으로 대신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이때 핏방울의 크기를 보면 매우
작은
방울들이 흩뿌려지는 것을 볼 수 있다.만일 어떤 핏방울들이 먼 거리에 걸쳐 넓게 퍼져 있다면 그것은 피해자가 뛰어가고 있었다는 증거가 된다. 반면 좀더 둥근 핏방울들이 좀더 가볍게 뭉쳐있다면 ... ...
털모자 눌러쓴 에스키모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최후를 맞이하는 광경이다. 우리 태양 같은 별이 죽어가며 남기는 모습인 것이다.
작은
망원경으로 어렴풋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큰 망원경에서는 목성 정도 크기의 푸른 원반으로 보인다. 에스키모성운 같은 천체는 행성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름도 행성상성운이라 불린다. 행성상성운은 많은 ... ...
상식에 어긋나는 흑맥주 기포의 추락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기포의 크기에 따라 기포가 터지면서 발생하는 소리를 알아내고자 했다. 그 결과
작은
기포들이 큰 기포보다 높은 소리를 낸다는 것을 밝혀냈다.연구팀이 파도소리의 비밀을 벗기고자 기포의 크기를 연구한 것은 아니다. 기포는 전지구적 기후, 가스 교환, 그리고 생물학적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 ...
1. 지능 높은 로봇비행기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중동전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전쟁에서 이스라엘은 프로펠러 무인기를 사용했다.
작은
프로펠러 무인기 한대가 맴돌고 간 후면 정확하게 쏟아지는 포탄에 아랍계 병사들은 몸서리를 쳤고, 무인기가 촬영한 영상 중에는 곧이어 쏟아질 폭격을 두려워하며 겁에 질린 채 백기를 흔드는 병사들의 ... ...
1. 생명체는 정보의 집합체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인류의 가장 오랜 화두 중 하나로 생명과학이 탄생하게 된 근본적인 질문이다. 그러나
작은
박테리아에서 인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생명체의 본질이 무엇인지 대답하기는 결코 쉽지 않다.이 질문에 해답을 얻기 위해 지금까지 생명과학자들은 온갖 생명체를 해부해 무엇으로 구성돼 있는지, ... ...
왜 핵과학자들은 초중량 원소를 만들려고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Z=126, N=184)를 찾으려고 한다. 그러나 이 원소에 이르기는 무척 어려워 보인다.원자번호가
작은
두 원소의 핵반응으로 생성되는 초중량 원소는 핵분열과 알파붕괴의두과정을 거친다. 그런데 원소를 규명하려면 원소가 핵분열보다 알파붕괴를 해야 한다. 초중량 원소의 핵이 알파붕괴해 생성된 핵을 ... ...
블랙홀이 태양계를 삼킨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했지만, X선이 방출되는 지점을 알 수 없었다.지구에서 4억광년 떨어진 NGC6240은 두개의
작은
은하가 충돌하고 병합하는 과정에서 별들이 이례적으로 빠르게 탄생하는 은하의 전형으로 알려져 있었다. 가시광선뿐 아니라 전파나 적외선으로 관측한 결과 두개의 밝은 핵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이번에 ... ...
토성 1년만에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나뉘어 있는 모습이다.토성의 고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특징이라면 고리 사이의
작은
틈이다. 이 간극은 1675년 이탈리아계 프랑스 천문학자 카시니가 처음으로 발견했다 해서 ‘카시니의 간극’이라 불린다. 토성 고리 중에서 가장 밝은 부분은 B고리다. B고리의 바깥 부분에는 어두운 A고리가 ... ...
이전
604
605
606
607
608
609
610
611
6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