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아우르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함께 ‘나만의 컴퓨터’를 만들어보겠다는 집념 하나로 컴퓨터공학과 연구실에서 시간을 보냈다. 그 때 만든 컴퓨터는 모토롤라 68000 프로세서(필자가 어렸을 때 오락실 기계들이 애용하던 프로세서)가 16MHz(메가헤르츠, 1MHz=106Hz)로 동작했다. 여기에 512KB(킬로바이트) SRAM, 128KB ROM을 탑재하고 3인치 ... ...
- 한양대 수시 미래인재 전형 합격생 인터뷰 “진로고민은 중학교 때 시작하라”과학동아 l2012년 10호
- 포트폴리오 정리할 때 다른 친구들은 그제야 느낀 점을 쓰는데, 저는 미리 써뒀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단축됐습니다.” 미래인재 전형에서 면접은 해당전공 교수 면접 10분과 입학사정관 면접 10분, 총 20분이 걸린다. 면접을 시작할 때 노크를 하는 것이 예의라는 생각에 직접 노크를 하고 인사했다. ... ...
- “생명공학으로 식량난, 질병 해결해요”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찾아내서 그 유전자를 병에 약하고 맛이 좋은 토마토에 집어넣습니다. 그러면 짧은 시간에 맛도 좋고 병에 강한, 우리가 원하는 토마토를 얻을 수 있죠. 이렇게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해 유전자를 재조합한 작물을 ‘유전자재조합작물(GM작물, GMO)’이라고 합니다.”뿐만 아닙니다. 추위를 잘 견디는 ... ...
- 수학동아 열혈독자를 만나다! 2013 최연소 서울과학고 합격생 정재훈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잡히는 대로 읽었다. 이런 책 읽기 습관은 집중력 향상으로 연결됐다. 집중력은 학교 수업시간에 빛을 발해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업에도 도움이 됐다. 덕분에 학원이나 과외는 필요 없었다."책은 저의 또 다른 선생님이에요. 학원이나 과외로 배울 수 없는 지식들을 공부할 수 있죠. 책 읽기는 ... ...
- 이탈리아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마당발 수, 17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실축을 한 이탈리아 선수의 등번호가 17이었으며, 아르헨티나가 선제골을 성공한 시간은 경기 시작 후 17분 뒤였고, 이날 경기는 이탈리아 대표팀이 상 파울로에서 가진 17번째 경기였다.자국에서 열린 월드컵에서 좌절을 겪은 이탈리아인들에게 17은 더욱 부정적인 이미지 의 숫자가 됐고, 이후로도 ... ...
- [정보] 최고의 수학자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와일즈와도 알고 지낼 만큼 유명한 수학자이시니까요. 교수님과 수학에 대해 토론한 시간이 무척 좋았어요. 저의 꿈은 리만 가설을 푸는 거예요. 교수님처럼 꼭 훌륭한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김진형 : 교수님의 첫 인상은 마치 아인슈타인과 같았어요. 최고의 수학자이시지만, 자연스럽고 편안한 ... ...
- 내장형 저전력연구실, 더 오래가는 스마트폰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4개 학회의 의장을 맡고 있다. 회의 하나를 위해 1박 3일로 해외 출장을 다녀오거나 외국 시간에 맞춰 새벽에 컨퍼런스콜로 회의하는 일도 잦다.인터뷰 도중 장 교수는 “나는 스스로 학자라기보다는 엔지니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의미를 묻자 등산에 빗댄 설명이 돌아왔다.“이론과 실용성에 ... ...
- 마지막 관문, 토의·토론 통과하기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외국에 있는 친구와 통화를 할 수 있는 것도, 외국에서 벌어지는 올림픽 경기를 실시간으로 텔레비전을 통해서 볼 수 있는 것도 통신위성의 발전덕분에 가능해진 일이다. 이처럼 우주개발을 통해서 얻어진 기술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당장 비용이 많이 들고 실패가 ... ...
- Part 1. 미래 전장에 뛰어들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왔다.“남서쪽으로부터 레일건 포격이다.”“거리는 얼마나 됩니까?”대답까지는 시간이 좀 걸렸다.“스텔스 탱크(투명 전차)인 것 같다. 여기서는 탱크의 위치나 속도가 확인되지 않는다. 북동쪽 탈출루트B를 이용하라.”무전을 끝내기 무섭게 나는 동료들에게 즉각 탈출할 것을 지시했다. ... ...
- Part I. 불안이 몰고 온 현대의 비극, 스트레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나눈다. 먼저 강렬하고 충격적인 사건에서 오는 ‘트라우마’와, 그보다는 작지만 지속시간이 긴 ‘일상생활 스트레스’다. 위에 설명한 사람들의 스트레스는 다 일상생활 스트레스다. 반면 트라우마는 얼른 들어도 차원이 다르다. 작년 동일본 대지진 같은 천재지변이나 9·11 같은 테러, 전쟁, ... ...
이전6026036046056066076086096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