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건"(으)로 총 7,973건 검색되었습니다.
- [CES 2017] KIST,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선보여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볼 수 있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보였다. KIST가 CES에서 단독 전시를 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KIST 로봇·미디어연구소 영상미디어연구단 김성규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개발한 무안경 3D 디스플레이는 다시점 기술이 적용돼 어느 위치에서 봐도 고화질 3D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또 3D ... ...
- 개를 키우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절대 기쁨’ 몇 가지!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격한 반응 – 짖거나 무는 등 –을 보여서는 안되겠지요. 이빨, 기생충이나 전염병 같은 건강적인 면에서는 당연히 완벽해야 합니다. 이 때문에 동물매개치료가 이뤄지는 나라에서는 이들 동물과 상담사에 대해 자격시험을 거쳐 자격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주로 개가 동물매개치료에 많이 ... ...
- 피부처럼 유연한 박막트랜지스터(TFT)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전기전도도에 거의 변화가 없을 정도로 신축성이 좋다. 옷을 짜듯이 비틀거나 뾰족한 물건으로 찔러도 기존 실리콘 기반 반도체 소자와 비슷한 성능을 보였다. 힘껏 잡아당겨 늘이면 전기전도도가 평상시보다 약 6.8% 감소했지만 성능에는 지장이 없는 수준에 그쳤다. 바오 교수는 “전자피부 같은 ... ...
- [카드뉴스] 거짓말을 못하는 남자 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바탕으로 라는 책을 냈습니다. 거짓말을 하지 않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친구의 불륜을 폭로했다가 갈비뼈가 부러질 정도로 맞기도 하고, 진심 어린 충고를 해서 가족과의 연이 끊길 뻔도 했습니다. "늘 숨김없이 진실만 말하는 사람이 외톨이가 ... ...
- 하얀 달걀 줄까, 갈색 달걀 줄까? 사라진 하얀 달걀을 찾아서..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하얀 달걀이 많았는데 왜 요즘은 갈색 달걀만 팔까요? 그리고 달걀 색깔은 왜 다른 건가요? pixabay 제공 Q 왜 달걀 색깔에 차이가 생기나요? A. 달걀색이 다른 이유는 허무할 정도로 단순합니다. 레그혼 같은 하얀 닭은 하얀 알을, 로드 아일랜드 레드나 뉴햄프셔 등 갈색 계통 닭은 갈색 알을 ... ...
- “미국의 자원 소비, 멸종위기종 60% 위협”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적은 있었지만, 전세계적인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가네모토 교수는 “지속가능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생태계 보호 전략이 필요하다”며 “환경 문제와 관련한 국제 이슈를 해결하고, 환경 정책을 연구하는 데 ... ...
- 새해결심 벌써 실패한 당신을 위한 3가지 과학적 변명2017.01.06
- 동아일보DB 제공 《‘다이어트’ ‘금연’ ‘저축하기’ 등 새로운 결심과 함께 새해를 연 지도 어느덧 일주일. 다들 실천은 잘하고 계신지? 매년 결심하고 포기하고, 도전하고 실 ... 목표를 세우고 △나쁜 습관을 통제하며 △의지력을 길러 작심삼일의 굴레에서 벗어나 보는 건 어떨까 ... ...
- [고100 여행-6] 강릉 이색카페 1편- 한옥 갤러리 카페, 교동899와 눈 맞다!2017.01.05
- 자기 작품을 갖고 있으면 전시회를 할 수 있다. 그렇다고 무조건 전시회를 열 수 있는 건 아니다. 이곳의 콘셉트와 맞는지도 본다. 전시회가 결정되면 작품을 하나하나 어디에 배치할지 고민하는 것부터 전시회가 열리는 동안 작품을 관리하는 일까지 모두 그녀의 몫이다. 그동안 어려움도 많았지만 ... ...
- [카드뉴스] 중독을 부르는 살인 비즈니스 동아사이언스 l2017.01.05
- "한 달에 담배 7개피를 피우면 니코틴에 중독된다." -조셉 디프란자 메사추세츠대 의대 교수 담배의 백해무익함은 익히 들 ... 때 성공할 수 있다고 합니다. 힘들더라도 오늘부터 참아보겠다는 의지를 가져보시는 건 어떨까요? -원문: 과학동아 2011년 4월호 ... ...
- AI 확산 막을 과학기술, 뭐가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7.01.04
- 제공 ● 그런데 현실화는 언제...? 오늘 포럼에서 발제 발표를 맡은 송창선 건국대 수의과대학 교수는 “과학기술로 현재 AI 사태에서 우리가 겪는 한계를 대부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송 교수는 ▲전문 인력과 인프라의 부족, ▲예찰 시스템 ▲차단 방역 ▲진단 기술 ▲방역, ... ...
이전6016026036046056066076086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