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d라이브러리
"
지금
"(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성지중 1년)우리가 살고 있는우주는 각의 세계우주의 지구도지구의 건물도동물도 식물도
지금
읽고 있는 수학동아도모두 각을 가지고 있네각은 수학책에서만 나오는 줄 알았더니우리 바로 옆에도 있네각은 우리의 친구작품평 | 정다니엘 학생의 ‘우주는 각의 세계’는 상상공간이 매우 크고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프로야구 왜 133경기 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시스템 때문에 5번이나 한·일전을 치렀다. 결국 일본에 우승컵을 내주게 돼
지금
까지도 아쉬움이 남아 있다. 새로운 경기 운영 시스템으로 열릴 예정인 제3회 ‘2013 월드베이스볼클래식’에서는 우리나라가 우승컵을 거머쥐길 기대해본다.감동 있는 영화 ‘글러브’영화 ‘글러브(Glove)’의 주인공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씩 무거워지는 수압에 견딜 수 있어야 해요. 수압의 견딜 수 있는 건축물의 비밀은 제가
지금
부터 설명해 드릴게요.수압을 이기는 ‘지오데식 돔’해저는 중력만을 받는 육지와 달리 모든 면에서 압력을 받는다. 따라서 해저 건축물은 어떤 방향에서 힘을 받든 그 힘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어야 ... ...
PART 2 수학을 소재로 한 공포영화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수학공포증’이라는 말도 있잖아요. 그래서인지 수학을 소재로 한 공포영화가 있어요.
지금
보고 있는 영화 ‘큐브2’는 ‘하이퍼큐브’라 불리는 4차원 초입방체 안에 사람들이 갇히면서 이야기가 시작되죠. 4차원 초입방체는 정육면체를 4차원으로 확장한 도형인데, 서로 평행하거나 수직인 ... ...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암호 찾는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암호 알고리즘을 연구하면서 기존 알고리즘의 개선 방안도 찾는 셈이다.심 팀장은 “
지금
까지 개발된 암호 알고리즘은 대부분 모든 분야에 쓰일 수 있는 범용”이라며 “연구팀은 이와 달리 사용 환경이 제한적인 전자태그나 센서 등에 최적화된 전용 암호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라고 ... ...
Intro. 한국 미라 기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사진은 약 500년 전 조선 초기 한 사대부 집으로 시집 온 두 여인의 모습이다. 500년이 지난
지금
두 사람은 고운 미라로 남았다. 인근 묘에서 남편의 무덤도 확인됐지만 모두 썩어 뼈조차 출토되지 않았다. 두 미라는 2010년 경기 오산시에서 발굴됐다.두 미라는 남편의 품계에 따라 각각 정6품, 정9품을 ... ...
Part 2. 머리 좋은 가수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사로잡기 위해 전략을 세운다.처음 방송을 시작했을 때는 1위에 한 표를 행사했지만
지금
은 3명에게 투표하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가장 뛰어난 1명에게 표를 주는 방식이다 보니 정작 최하위를 가리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참가자 3명, 청중이 100명이 있다고 하자. A, B, C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뇌 영상을 찍어 어디에 코일을 대야 하는지 결정한다. 그러나 tDCS는 이런 기술이 없다.
지금
은 대상 부위 인근에 전류를 흘리는 수준이라 정확도가 떨어진다. 또 머리에 화상과 근육경련을 막기 위해 붙이는 전극은 가로, 세로 5cm로 너무 크다. 따라서 뇌의 여러 부위가 복합적으로 자극되기도 한다. ... ...
한 권에 담은 기후변화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쓸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연구팀은 이 에너지를 모두 인류가 쓰면 이산화탄소 농도가
지금
의 2배로 높아지는 수준의 기후변화가 찾아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물론 논란이 많은 연구 결과다. 대부분의 재생에너지 학자들은 풍력이나 해양 등 재생에너지가 인류가 활용할 수 있는 양보다 훨씬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고칠 시간을 벌 수 있다. 1993년 저널 ‘셀’에 발표된, p53과 WAF1의 연관성을 밝힌 논문은
지금
까지 ‘셀’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이라고 한다. 한편 세포가 돌이킬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p53은 세포가 자살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이를 아포토시스(apoptosis)라고 부른다.노화와 암 사이 ... ...
이전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