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빛이 심하게 산란되는 것이다. 이번에 김 교수가 개발한 메타물질은 굴절률이 3 이상인 유전체로 만들어졌다. 그는 “정말 유리처럼 투명하게 보이려면 굴절률이 최소한 2 이하인 재료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과연 해리 포터의 투명망토를 현실에서 볼 수 있는 날이 올까. 층층이 쌓인 난제를 ... ...
- 와인 잔에 든 맥주가 더 맛있다! 음료와 컵의 밀당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를 쓸 때 갖게 되는 소소한 장점이 두 개 더 있다. 쓰레기가 줄어들고, 무엇보다 커피전문 점에서 텀블러로 커피를 구입하면 할인이 된다! 커피를 맛있게 먹고, 쓰레기도 줄이고 돈 도 아끼고, 이것이야말로 일석삼조에, 꿩 먹고 알 먹는 일이 아닐까 ... ...
- 의사도 모르는 의학이야기4 -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회복으로세월호 생존자들이 겪고 있는 충격과 고통은 어떻게 치유해야 할까요? 미국의 참전 군인들처럼 PTSD 치료법이 필요할까요, 아 니면 스리랑카의 주민들처럼 강한 종교와 공동체의 결속에 의존 해야 할까요? 물론 둘 중의 하나만을 꼭 선택해야 하는 것도 아니 고, 우리 사회에 가장 맞는 제3의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견딜 수 있을 만큼 안전하대.여기서 언제까지나 잠만 자냐고? 그건 아니야. 지진, 전쟁, 테러 같은 위험한 일이 벌어져 먹을 식량이 부족해지면 바로 우리가 출동한단다. 이런 위급한 상황이 아니더라도 언젠가 사람들이 음식을 풍족하게 먹지 못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해. 지난 200년 동안 세계의 ... ...
- [뉴스포커스] 수학자를 꿈꾼 소년, 이달의 과학기술자로 우뚝 서다!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설레는 마음으로 세계수학올림피아드 대회에 참가했던 한 소년이 이제는 한국 과학기술계의 주목을 받는 수학자로 성장했다. 바로 5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을 수상한 서울대학교 ... 계속해서 수학이라는 세계의 비밀을 풀어 나가는 기쁨을 맛보고 싶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 ...
- 보너스 + 브라주카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06호
- 6개의 바람개비 조각으로 만든 브라주카!브라주카, 역대 최소 조각 수이자 최초의 구 테셀레이션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 사용하게 될 공인구는 ‘브라주카’다. 월 ... 필승전략! Brasil 월드컵!Part 1 알아두면 더 재밌는 월드컵 이야기Part 2 수학으로 세운 승부 전략!보너스 + 브라주카 만들기 ... ...
- 도박하면 대박? 수학으로 보면 쪽박!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과거와 관련이 있는 ‘종속적인 사건’일 거라는 감정적인 기대를 하는 것이다. 즉, 동전 던지기를 10번 하는데, 지난 9번 모두 뒷면이 나왔다고 해서 이번에는 앞면이 나올 거라고 기대하는 것과 똑같다. 이런 사고의 오류를 ‘도박사의 오류’라고 부른다.실제로 로또에 당첨된 확률은 814만 분의 ... ...
- '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매력이 있어 연구에 매진했을까.“’모른다는 것’ 자체 아닐까요? 탐사선이 가도 여전히 몰라요. 대기를 가져올 수는 없잖아요.”풀리지 않는 호기심이 언제나 남아 있다는 것. 갑갑할 법도 한데, 심 박사는 오히려 “그게 천문학의 매력”이라며 웃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위성 ...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숙소 사이사이에 개미집들이 있다. 사람 사는 집보다 개미집이 훨씬 많다. 이곳은 일부러 전기를 공급하지 않는 자연친화적 운영 때문에 해만 지면 별천지가 된다. 덕분에 작은 달만 떠도 이렇게 주위가 환해진다.➐ 황무지에 사람 키를 훨씬 넘는 개미집들이 흩어져 있다. 뒤에 보이는 지형이 ... ...
- 1991년 노벨 생리의학상 에르빈 네어 박사 “좋은 과학자가 되기 위한 한 가지, 바로 호기심”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호소이기도 했다.네어 교수에게 마지막으로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의사나 변호사 등 전문직 대신 왜 과학자가 되어야 하느냐”고 단도직입적으로 물었다. 네어 교수는 웃으며 담담하게 말했다.“과학자는 아무도 몰랐던 지식을 찾아내고, 새로운 걸 만들어낼 수 있죠. 의사만큼 돈은 못 벌지 ... ...
이전6016026036046056066076086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