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날의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전문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이 회사는 로봇의 시각을 향상시키는 데도 분주하지만 '로그
양
극' 전자광학 영상처리 방법을 이용한 '핼프메이트'라는 배달꾼로봇은 병원의 복도와 엘리베이터와 공급품실과 주방을 바퀴다리로 굴러다니면서 식사와 약과 소독된 공급품을 밤낮을 가리지 않고 배달한다.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믿고 있다.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이 두 개념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물질의
양
과 분포가 곧 공간의 구조를 결정해 주고, 물질의 운동은 공간의 구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우주의 구조라는 운명을 결정해주는 중요한 요소는 우주안에 얼마나 많은 물질이 있는가 하는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그 동안의 통상적 관점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이 고온 가스는 온도가 1천만℃ 정도로 태
양
표면 온도 6천℃나 오리온 대성운의 이온화된 영역의 1만℃에 비하면 훨씬 높은 온도이다. 고온 가스는 은하 외부로 방출돼 은하단에 퍼져있기도 하며, 은하중심의 강한 전파를 방출하는 원인과도 관계가 있는 ... ...
2 흑연 다이아몬드에 이은 제3의 화합물 ${C}_{60}$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용, 그 존재를 밝혀낸 이후 1990년에는 사람의 손으로 만지고 육안으로 관찰할만한
양
의 풀러렌이 얻어졌다. 그후 여러가지 희한한 추측과 실험결과들이 연이어 발표됐다. 이들 중 몇가지의 예를 보면 초전도 고분자 촉매 비선형 광학성질 컴퓨터기억소자 로켓연료 무금속유기물자석 등에 관한 ... ...
「제3의 물리학 혁명」혼돈이론의 실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다
양
, 비선형과학을 총체적으로 정의하거나 한정짓는 것조차 쉽지 않은 상태다. 다
양
한 비선형현상을 일관되게 설명할 수 있는 체계가 아직도 정립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 분야는 여전히 태동단계라고 할 수 있다.하지만 비선형과학은 현대과학의 새로운 모색방향으로 인식되고 있음에 틀림없으며 ... ...
(1) 대중화 단계에 접어든 컬러 컴퓨터 그래픽의 진수를 맛본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경우는 최대 1천24×7백68의 해상도까지 나타내기 때문에 훨씬 부드러운 화면에 많은
양
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 흑백에서는 처리하기 어려운 여러가지 색깔의 화면구성이 컬러에서는 가능하므로 프로그램의 진수를 만끽할 수 있다.생각이 지금 한참 개발중인 멀티미디어에까지 미치면 컬러가 ... ...
고엽제 후유증의 원인 다이옥신 해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포함한 오렌지제였다. 다른 독성물질의 경우 그 잔류기간이 보통 1주일에서 18개월까지 다
양
하지만 다이옥신은 독성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만도 3년반이 걸린다.Q8) 고엽제 후유증으로 의심되는 국내의 환자들의 경우는 어떻게 보상받을 수 있는가A) 국방부가 제시한 고엽제 후유증 환자 판정기준에 ... ...
냉장고의 열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 방식을 응용한 냉장고 실험에 성공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센서발달로 저장칸 다
양
화냉장고의 원리가 어떻게 바뀌든, 궁극적으로는 내부의 열을 외부로 끌어내주어야 한다. 냉장고의 밖은 일반적으로 안쪽보다 온도가 높은 상태기 때문에, 열의 이동은 오히려 거꾸로라야 자연스럽다. 따라서 ... ...
2 외부은하 나선팔은 별탄생의 요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없어진 결과로 생각돼 진다.강력한 전파를 발사하고 있는 은하들 중에는 특이한 모
양
을 갖는 은하들이 있다. 이중 대표적인 것은 우리은하보다 1천배 이상의 강한 전파를 발사하고 있는 NGC 5128(Cen A)이다. (사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 큰 먼지대가 형성돼 있고 우리로부터는 1만6천광년의 거리에 ... ...
바다는 이산화탄소의 거대한 저장탱크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열쇠를 쥐고 있다는 것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마지막으로 바다는 얼마나 많은
양
의 이산화탄소를 녹일 수 있는 용량을 가지고 있을까. 일본 나고야 대학의 한다 교수는 '과학 아사히'에 기고한 글에서 이론적 추정치로 4조3천t을 소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간 바다로 20~25억t이 녹아 들어 가므로 ... ...
이전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