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우리나라"(으)로 총 6,414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구 취재!! 대구의 지형의 원리~기사 l20140816
- 정말 무지 덥고,추워질때는 바로 확 추워지고~보통은 태평양에 가깝거나 적도부분에 가까우면 그 부분은 무지 덥습니다.이렇게 되면 우리나라에서는 부산이 태평양쪽에 있으므로 대구보다 더욱 더워야 합니다.하지만 대구가 더 덥습니다!!그 이유는 무엇일까요??그리고,온도 변화가 심한 이유가 궁금하시지 않습니까??지금 알려들이겠습니다!! 대구는 "분지지형" ...
- 광복절 광복절에 대해서 알아보자.기사 l20140815
- 문명도 발전이 잘 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마지막은 바로 개천절입니다. 단군왕검을 아시죠? 단군이 고조선을 세운 날입니다. 이때부터 우리나라가 생긴 것이죠. 마지막으로 한마디만 하겠습니다. 1년 365일 중 가장 의미있는 날, 광복절 광복절은 10년 후, 100년 후, 1000년이 지나도 영원히 잊혀지지 않을 것 입니다. 대표이미 ...
- 우주에 대한 진실은??? [취재여행]항공우주 연구원기사 l20140815
- 위성에는 무엇이 있을까?1. 아리랑 1호 ;지금으로 부터 20년전 미국의 TRW사에서 위성을 수입해서 뜯어보면서 알아낸 기술로 만든 위성. 우리나라 최초의 위성2. 아리랑2호;2006년 발사하여 원래 수명이 3년인데 아직까지도 운행 중이다.3. 아리랑3호;고화질 해상도의 카메라를 가지고 있는 위성이다.4. 아리랑 3-A호; 적외선 카메라를가지고 ...
-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서해안 대교를 건넜 습니다!!!포스팅 l20140812
-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서해안 대교를 건넜 습니다!!! ...
- 어디에나 존재하는 방사선 방사선, 잘 사용하면 유용해요.기사 l20140810
- 방사선 측정하는 모습 하지만 우리가 매일 방사선을 맞고 있다고 해서 걱정할 필요는 없데요. 우리나라 한 사람이 1년에 맞는 방사선량은 2.8mSv인데 이것은 적은 양이므로 인체에 위험하지 않다고 합니다. 왜 방사선이 생기는 걸까요? 고무나 플라스틱 등 물체를 구성하는 재료를 물질이라고 하는데 그 물질을 쪼개고 쪼개다 보면 더 이상 ...
- 서북학회 회관에서 독립지사를 만나다 일제강점기 애국계몽운동 서북학회 회관 입체퍼즐 만들기기사 l20140810
- .. 하지만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잘 만들었어요. 이 프로그램을 한 후 서북학회 회관, 그리고 서북학회, 애국계몽운동가와 독립지사, 우리나라 대학의 역사에 대해 잘 이해하게 되었어요! ...
- 우리나라 항공우주연구의 미래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다녀와서기사 l20140810
- 7월 30일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취재에 참석했어요.우리의 일정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홍보 영상 시청- 본관 전시물 견학- 연구 시설 투어 (위성시험동 포함)- 화약 로켓 발사 체험 (운동장)- 연구 시설 투어 (위성활용협력센터)맨 처음 우리는 홍보 영상을 시청했어요. 어떤 가족이 2040년에 우주호텔에 가는 이야기로 시작해요. 앞으로의 우주 개발에 관 ...
- 방금 tv에서 시사기획 창!을 봤는데, 우주연구에 대해서 하더라구요~! 게다가 거기서 저포스팅 l20140805
- tv에서 시사기획 창!을 봤는데, 우주연구에 대해서 하더라구요~! 게다가 거기서 저희가 간 항공 우주 연구원도 나왔답니다! 그 덕분에 열심히 지켜보았죠..! 우리나라 사람들이 한국형 발사체를 만들고 있다고하는데, 그게 꼭 되면 좋겠네요! (항우연에서도봄.) 미국 나사와 함께 만든다고 합니다... 우주비행기가 완성되어 예약이 찬 상태라고 합니다. ...
- 대전 항공우주연구원에 가다! 대전 항공우주연구원 첫 취재...기사 l20140805
- 다음에는 1층에서 무인항공기 모형을 봤다.나는 그 기술이 대단하다고 생각했다.왜냐하면 그 기술은 수직 상승이 가능한데, 미국과 우리나라, 딱 두 나라밖에 없었으니까 말이다. 이 무인항공기는 산불 등 재난에 쓰이는 유용한 항공기라고 한다.그 다음, 우리는 우주선을 만드는 현장에 가보았다.아저씨들이 우리를 쳐다보았지만, 선생님은 설명을 계속하였다. ...
- 이카루스를 살려서 우주로 ! 유휘상 기자의 항우연 취재기기사 l20140804
- 우리 기술로 위성을 만들고 그 위성을 시험해 보는 곳입니다.사진촬영이 안되서 신문기사의 사진을 사용하겠습니다. 20년 전, 우리나라에서는 위성을 만들 기술이 없었습니다.그래서 미국의 TRW 라는 회사에서 위성을 수입해서 뜯어보면서 기술을 연구했습니다.그렇게 만든 것이 아리랑1호입니다.그후 아리랑 2호를 만들었습니다. 2006년 발사하여 원래 수 ...
이전6006016026036046056066076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