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NASA는 어떤 조직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있지만 규모와 인원, 하는 일에 있어서 비교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NASA는 냉전이 종식된
이후
미국의 꿈은 물론 인류의 꿈을 펼치기 위해 최전선에 서 왔다. 그래서 예산이 계속 삭감되고 있는 NASA는 세계 각국에 공동으로 연구할 것을 제의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국제우주정거장 계획이다.NASA가 ... ...
세계최대크기의 한외룡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익룡, 오비랍토르는 알도적룡 등 1백4개의 이름들이다.의성에서 처음 발견한
이후
현재까지 공룡골격화석이 산출된 곳은 8개소로 알려졌다. 북한의 경우 평북에서 공룡골격화석이 80년대에 발굴됐다고 한다(북한 지질조사소 소장). 골격화석으로부터 알 수 있는 우리나라 공룡은 팔룡 ... ...
2. 컴퓨터시대에 부활된 선사시대의 유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사람이 기원전 1800년경 사람과 동물의 발자취를 유심히 관찰해 한자를 발명했다고 한다.
이후
에도 중국한자는 자연물의 모양을 형상화해 의미 전달을 광범위하게 발전시켰다. 알파벳 알파벳은 대표적인 표음문자이다. 표음문자는 인간이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의 첫소리를 대표성 있는 형태로 ... ...
Ⅱ. 부드러운 장기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차이로 인해 독성물질은 개의 혈액쪽으로 침투한다. 이 독성물질은 개의 간에서 정화된
이후
막을 통해 다시 환자의 몸 속으로 들어온다.현재 의료계에서 연구되는 인공간은 동물을 직접 데려다놓고 시술하는 형태에서 간세포만을 떼어 독성물질을 정화시키는 형태로 옮겨졌다. 예를 들어 속이 빈 ... ...
서커스사이언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일단 곡예사들이 무의식적으로 몸을 뒤로 젖혀 회전력을 얻었기 때문에 코치의 말은 이
이후
의 회전관성을 가능한 한 줄이라는 얘기로 해석해야 되겠지요.”베르코프스키는 곡예사들에게 공중제비를 할 때 뒤로 편안하게 젖히라고 가르친다. 그는 곡예사들에게 방향과 힘의 방향을 그림으로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뼈·연골·관절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금속재를 대신해 스테인레스 강철을 사용함으로써 인공관절의 효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후
공학의 발달로 새로운 소재가 등장하면서 인공관절 개발에 점진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현재 세계적으로 약 2백여종의 인공관절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그러나 한계가 많이 남아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 ...
3. 아무리 복잡해도 한눈으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것을 의미한다. 또 사람들은 새로운 정보를 대하게 될 때 우선 형태로서 인지하고 그
이후
그 내용으로 인지하기 때문에 인지적 측면에서도 시각적 정보가 훨씬 효과적이다.유명한 코카콜라 로고를 보자. 얼핏 보기만 해도 그 독특한 형태로 인해 사람들은 쉽게 코카콜라로 인식하게 된다. 하지만 ... ...
Ⅳ. 인공장기, 고부가가치 낳는 21세기 첨단분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세포를 한번 배양해주는데 요구하는 비용만 해도 평균 5백만원 선이라고 한다. 배양
이후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부가가치는 계속 증가할 것이다.현재 연구가 가장 활발한 나라는 미국이다. 약 30개의 기업체와 20여개의 대학에서 연구를 수행중이다. 다른 분야에 비하면 이제 ... ...
당신의 생명을 구해주는 튜닝의 법칙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판매할 수 있다. 일본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이런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따라서 시판
이후
에 자동차의 구조를 변경하려면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는 안전에 위험을 줄 수 있는 불법 개조를 막기 위한 것이다.형식 승인제도가 없는 미국에서는 단지 시판차량을 정기적으로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심장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하지만 아직 사람에게 적용된 사례는 없다. 전기식 완전이식형이 목표우리나라는 1984년
이후
서울대 의대 의공학교실에서 전기식 완전이식형 심장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88년 인공심장 ‘심청이’를 1백kg짜리 송아지에 이식, 4일간 생존시키는 성과를 보였다. 심청이란 이름은 자기를 ... ...
이전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