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림자 마왕 '네가 머래도 다비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작은 부분들을 꼼꼼히 관찰해 보면 정답을 찾아 낼 수 있다. 세 번째 문제의 답 자기가
직접
손으로 모양을 만들어 보자. 정답은 다음 그림과 같다. 네 번째 문제의 답빛의 직진에 관한 문제. 그림자의 크기는 물체의 크기와 위치, 촛불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다음의 그림과 같이 ❶번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것이다. 지난 4월 ‘과학의 달’ 강연차 내한 한 거스 매클라우드를 항우연에서 만나
직접
얘기를 들어봤다.고지가 얼마 남지 않았다. 800km만 더 가면 남극점이다. 이제 서너 시간 후면 경비행기로는 세계 최초로 남극점을 정복하게 된다. 꼬박 10시간 넘게 쉬지 않고 날아왔다. 서서히 몸 안에 뜨거운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하늘에 떠 있는 별이라고 해서 영원히 빛나는 것은 아닙니다. 태어나서 죽는 일생을 가지고 있답니다. 별이 마지막 단계에서 폭발하여 밝게 빛나는 것을 초신성이라고 합니다. 초신성이 폭발할 때 지구에서 보면 갑자기 매우 밝은 새 별이 나타난 것처럼 보입니다. 실제로는 새로 태어난 것이 아니 ... ...
물리가 세계를 비추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000km의 태평양 해저 광섬유케이블을 타고 왔다. 이는 거리가 너무 멀어 눈에 보이는 빛을
직접
전달할 수 없는 국가간에는 전화선을 이용하기로 한 약속을 따른 것이다.부산에 도착한 빛은 이후 약 40분간 포항, 대구, 전주, 대전, 청주를 거쳐 최종 목적지인 서울에 입성했다. 부산의 횡령산을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효율 늘면 기억력 향상시냅스 가소성에 관여하는 시냅스 수와 효율이 기억력과
직접
적인 상관이 있다면, 가소성을 조절해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유전자 조작 생쥐를 통한 실험결과들이 이에 대한 좋은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 미국 프린스턴대 첸 박사는 신경전달에 관여하는 수용체 수를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어치는 환경에 대한 호기심이 많다. 어디서 신기한 소리가 들리면 궁금증을 참지 못해
직접
가서 확인을 해야 직성이 풀린다. 새로운 소리 자극이 계속되면 똑같이 따라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어치가 간혹 고양이 소리를 흉내 내는 것은 까치의 공격으로부터 둥지 속 알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는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한양대 세라믹공학과 동료 교수와 함께 3차원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으로 동일한 문제를
직접
시뮬레이션 할 예정이다. 그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물질의 결정구조를 계산하고 예측하는데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 매우 유용할 것”이라고 얘기했다.요즘 김 교수는 자신이 개발한 ... ...
산불과의 전쟁에 나선 과학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대추나무 꽃이 피면 산불도 끝이 보여요.”산림항공관리소 심원보 조종사는 봄이면 쉴 새가 없다. 산불은 봄철에 90% 이상, 특히 식목일을 전후로 한 4월에 ... “앞으로 정확도를 더 향상시킬 예정”이라며 “많은 국민들이 상세한 위험정보를
직접
확인해 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공기의 팽창력을 분명하게 증명하지는 못했다.이런 상황에서 보일은 공기의 탄성을
직접
보여주기 위해 실험을 고안했다. 자신의 조수였던 로버트 훅과 함께 만든 기구는 비교적 간단했다.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J’형 유리관을 준비해 짧은 쪽 끝을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막았다. 그리고 ... ...
우주관광도 식후경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보관할 수 있는 영양 공급원으로서 김치는 매력적이다. 오랜 외국 생활 중에도 김치를
직접
담가 먹으며 향수를 달래는 게 한국인의 일반적인 정서다. 한국인이 가는 곳에는 언제나 김치가 뒤따른다. 2007년이면 한국인이 우주에 간다. 김치도 우주에 따라갈 수 있을까?특명, ‘김치 맛을 ... ...
이전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