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농사를 돕는 흰개미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크가파마디 지역을 조사하기에 이르렀다. 이들은 곧 흰개미가 토양을 변화시키는
생물
학적 제제(biological agent)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NRI의 생태학자인 헬라이나 블랙은 "지금까지 곤충학자들은 흰개미를 고약한 해충으로만 알아왔다. 아마도 흰개미가 익충(益蟲)역할을 한 사례는 이번이 ... ...
사과는 수직으로 쌓아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덜 상하게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영국 리딩대학의 알리 칸과 줄리안 빈센트는 사과의
생물
공학(biomechanics)적 연구를 통해 과일의 고갱이를 옆으로 쌓으면 파손되기 쉽다는 것을 밝혔다. 사과의 고갱이를 세우는 꼴로 쌓으면 수직방향의 압력을 받을 때 그힘이 사과와 수평을 이루게 된다. 결국 ... ...
고향 찾아가는 희귀한 말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조그마한 변화가 발생하여 돌연변이라는 것이 나타나기 마련이고 따라서 같은 종의
생물
이더라도 완벽하게 같을 수는 없다. 그러나 이종(異種)끼리의 교배는 돌연변이들을 뒤섞어서 그 종 전역에 퍼지도록 한다.그러나 만약 특정한 종의 두 무리가 서로 분리되고 또한 그 분리가 오랜기간동안에 ... ...
원숭이도 말 배울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영리하다해도 언어학자들을 이기기는 어려울 것 같다. "만약 인간 이외의 어떤 동물이
생물
학적으로 언어를 익힐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그것은 마치 인간이 스스로 날 수 있는 섬을 발견한 것과 같은 기적이다"라고 MIT의 언어학자 촘스키는 말한다.그러나 칸지의 보호자들은 이 영리한 원숭이가 더 ... ...
모기의 침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으로 회전할 수 있는 모터를 소개하고 있다. 분자
생물
분야의 학자들도 박테리아나 미
생물
의 운동을 관찰해 이들의 운동원리를 모방한 기계를 만들어내고 있다.배추벌레나 지렁이의 운동을 배운다미소기계의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운동원리가 있겠으나 보편적으로 개발된 몇가지를 소개해보자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과학고측이 재구성한 고난도의 것이다. 특히 미국에서 개발한 SMSG수학 PSSC물리 BSCS
생물
ESCP지구과학 교재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이렇게 특수한 교육을 거친 과학고학생들은 KAIST학사과정 입시와 각종 수학·과학경시대회에서 발군의 실력을 과시하고 있다.KAIST학사과정 금년 신입생중 65%(3백52명)가 ... ...
5. 선배가 걸어온 길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대학을 졸업한 해 여름, 지원했던 몇군데 학교로 부터 입학허가 통보를 받았고, 그중
생물
학 교수가 가장 많은 학교로 손꼽히는 위스콘신 대학을 선택했다. 난생 처음 혼자서 비행기를 타고 아는 사람이라고는 하나도 없는 낯선 곳에 도착했을 때의 막막함이란.큰 트렁크 두개를 들고 학생회관으로 ... ...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않는 대신 산란수가 적어진다는 것은 개체군(個體群)의 크기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다른
생물
의 특징과 일치한다.한편 패류내에서 어란이 발생해 치어까지 되는데, 단순히 천적으로부터 보호만 받지 않는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즉 패류에서 분비되는 어떤 물질이 어류 발생에 도움을 줄 것으로 ... ...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공계 유학생의 절대 숫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유학을 좋은 자리의 '자격증'으로 인식하는 풍토는 오히려 사라지고 있다.2만 2천5백48명.외무부 ... 과학도들에게 더 이상 '필수가 아닌 필요'임을 강조하는 한국과학기술청년회장 장수철씨(연세대
생물
학과 박사과정)의 뼈있는 한마디다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가장 큰 문제는 인위적인 미
생물
살포가 기존의 생태계를 교란한다는 점이다. 게다가 미
생물
이 활발히 활동하려면 질소나 인 등의 영양염이 풍부하게 존재해야 하므로 바다에 인공비료를 뿌려줘야하는데 이 경우 부(當)영양화현상이 초래된다. 실제로 89년알래스카 연안에서 유조선 엑슨 발데즈호가 ... ...
이전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