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범고래와 들쇠고래, 사람과 닮아수학동아 l2010년 08호
- 들쇠고래, 사람, 이 세 가지 포유동물에게만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바로 암컷의 폐경입니다. 폐경은 남은 생애에 비해 자손을 낳는 능력이 일찍 사라지는 것을 말합니다. 최근 영국의 진화생물학 연구팀은 수학 모형을 이용해 폐경이 생기는 이유를 설명하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했습니다. ... ...
- 정다면체 오형제의 위대한 탄생수학동아 l2010년 08호
- 많아야 해요. 그럼 한 꼭짓점에 모일 수 있는 정사각형의 개수는 3개밖에 없는데 그게 바로 정육면체네요.선생님 : 아주 좋아요. 그렇다면 정육각형으로 만들 수 있는 입체도형도 있을까요?소망 : 입체가 되려면 2개보다 많아야 하는데 정육각형은 3개만 모여도 이미 평면이 돼버려요. 정육각형만으로 ... ...
- 판타스틱! 우주에서 펼쳐지는 마술 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초신성의 밝기가 그 동안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어둡다는 사실을 알아 냈어요. 이게 바로 시간이 지날수록 우주가 빠르게 팽창해서 나타나는 현상이었지요. 또한 그 동안 제가 지구로 전송한 우주의 모습들은 신비한 우주를 알리는 데 톡톡히 몫을 했답니다~!20년 동안 정말 많은 일들을 해 ... ...
- 재미있는 과학 체험이 한가득! 태평양과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8호
- 공룡, 열대 나비에 벌거숭이두더지쥐까지 이 모든 것을 보고 느낄 수 있는 곳 이 있어. 바로 미국 시애틀에 위치한 태평양과학센터야. 지금부터 나, 명예기자 송용호만 따라오라고! 공룡 공룡이 살아 있다!으악! 버튼을 누르자 공룡이 입을 벌렸어. 가만…, 육식 공룡과 초식 공룡은 이빨의 생김새도 ... ...
- PART 1 수학으로 본 우리 유산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열차를 타고 영주에 도착하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을 만날 수 있어. 바로 국보 제18호인 부석사의 무량수전이지.무량수전은 가로 61.9자(고려시대의 1자=32.21cm), 세로 38.2자의 직사각형 건물이야. 가로와 세로의 비가 1.62:1로 가장 아름답다고 알려진 황금비율을 하고 있지. 무량수전의 ... ...
- 수학자들은 왜 모였을까?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수학자 올림픽이란다. 4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2인 해에 국제수학자대회가 열리지.바로 이 대회에서 필즈상을 수여한단다. 대회 첫날 필즈상을 비롯해 네반린나상, 가우스상, 첸상을 시상하고 대회일정 동안 수상자들의 강연이 뒤를 잇지. 아, 맞다! 2014년에는 서울에서 대회가 열린단다. 세계의 ... ...
- 번호에 이렇게 깊은 뜻이수학동아 l2010년 08호
- 5만 원 지폐를 처음으로 발행했다. 일련번호 1~100번의 지폐는 화폐금융박물관에 바로 전시하고 일부 일련번호가 빠른 지폐는 경매를 진행했다. 그 결과 일련번호가 AA 0000101 A인 5만 원 지폐가 무려 7100만원에 팔렸다.우리나라의 지폐에는 알파벳 2자리+숫자 7자리+알파벳 1자리의 일련번호가 있다. ... ...
- 수학·독서 포트폴리오 비법 전수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자판기에서 '사이다' 버튼을 누르면 '사이다'만 나오지. 이처럼 하나씩 대응되는 건, 바로 함수의 원리야. 학교에서 공부하는 수학만으로 세상 속 수학을 모두 알기는 어려워. 다른 비법이 필요하지. 그렇다면 방 안에서도 수학으로 가득 찬 세상을 만날 수 있는 비법을 전해 줄게. 비법을 전수 받으러 ... ...
- 1 수학책과 친해지기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정해지는 x 와 y 사이의 대응 관계를 함수라고 한다’고 한 문장으로 설명해. 그런 다음 바로 문제가 나와. 예전보다 많이 친절해졌지만 한 문장으로 함수를 이해하기엔 부족하지 않니? 하지만 교과서는 정해진 기간에 여러 단원을 공부하는 책이어서 어느 한 단원을 길게 설명할 수 없어.그렇다면 ... ...
- 앵무새의 정리수학동아 l2010년 08호
- "그래, 맞아. 크지. 같진 않아!"그는 삼각형의 세 각의 합은 180˚라고 믿었었다. 그것이 바로 그리스인들이 주장하던 바였다! 하지만 각의 합이 180˚인 경우는 평면에서만이다. 다른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그럼 다른 경우란? 뤼슈씨는 지금껏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았던 '곡면 위에 있을 때 어떻게 될까? ... ...
이전5985996006016026036046056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