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 인터뷰] 천재수학자 테렌스 타오 교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만 40세 이하의 수학자에게만 준다. 현재까지 총 48명의 수상자가 나왔으며, 공동수상도
가능
하다. 테렌스 타오 교수는 2006년 두 명의 다른 수학자와 함께 필즈상을 받았다.필즈상을 안겨 준 그린-타오 정리수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 정수를 연구하는 분야를 정수론이라고 합니다. 타오 교수에게 ... ...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민주뿐이었다.수학에서 경우의 수를 배우는 이유 중 하나는 ‘있을 수 있는 다양한
가능
성’을 열린 마음으로 헤아리기 위해서다. 이런 마음가짐은 상대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노력으로 이어지고, 좀 더 공정하고 민주적인 사회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국가나 사회에서 법을 만들 때는 ... ...
Part 3. 멋쟁이 스키 친척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내려 오면서 연기를 펼쳐. 스노보드는 두 팔이 자유롭기 때문에 스키보다 다양한 연기가
가능
해.스노보드에는 스키의 대회전경기와 비슷한 평행대회전 경기가 있어. 똑같은 2개의 코스를 2명이 함께 내려오면서 경쟁한다는 점 빼곤 기문을 효과적으로 통과하는 방식이 스키와 똑같아. 하지만 ... ...
수를 알면 수학과 영어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없어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컴퓨터를 이용하는 전철과 비행기 등의 교통수단의 운행이 불
가능
해지고 은행거래는 물론 모든 경제활동이 중단되는 엄청난 일이 벌어질 겁니다. 이렇게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수는 어디서 어떻게 시작됐을까요? 지금부터 수의 뿌리를 찾아서 즐거운 여행을 떠나 봐요 ... ...
Part 5. 종이접기의 재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되는 변의 길이를 알아야 한다. 작도로는 이 비율을 만들 수 없지만 종이접기를 이용하면
가능
하다. 원리x의 길이는 y의 길이의 ∛2배다. 따라서 한 변의 길이가 x와 y인 정육면체를 만들면 부피의 비가 2:1인 정육면체를 만들 수 있다.단순한 흥밋거리로만 생각했던 종이접기에 이런 능력이 숨어 ... ...
하루를 25시간으로 사는 법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아놀드 베넷은 “그날그날의 24시간이야말로 인생의 양식이다. 시간이 있으면 모든 것이
가능
하나, 시간이 없으면 아무 것도 이룰 수 없다”며 “우리에게 필요한 건강과 즐거움과 만족,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받는 존경조차도 오직 시간 속에서 짜내야 한다”고 했습니다.이처럼 유명인들은 ... ...
늦더위와 방학 숙제를 한 번에! 과학실험 BIG. 3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비법 셋. 과학탐구 보고서에는 어떤 내용을 써야 하나요?실험의 결과가 실험 전에 예상이
가능
한 내용이었다면 그 예상을 꼭 쓰세요. 그리고 실험이 끝나면 내 생각과 맞는지 비교해 보고, 만약 맞지 않으면 왜 그렇게 되었는지를 생각해 글로 정리하세요. 또한 실험을 그래프나 도표를 사용해서 다른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이것만으로 전지구적인 빙기가 올
가능
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이제 우리는, 빙하시대가 먼 옛날에 있었던 특별한 시기가 아니라는 걸 알았어. 현재를 지나 미래까지 이어지는 지구 기후변화의 일부분이라는 걸 말이야. 미래에 언젠가는 ... ...
가상현실 속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4호
사실은 그 사람이 가상현실 속에 들어가 있었던 거야. 미래에는 정말로 이런 가상현실이
가능
해질까?가상현실 속으로 출발!자, 그러면 이제 가상현실을 직접 체험해 볼 차례야. 가슴이 두근거리는걸?안내를 받아 실험실로 들어가니 사방이 스크린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나왔어. 3D안경을 쓰고 스크린 ... ...
그림이 살아 있다! 마술액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만약 내 방의 그림이 영화 내용처럼 마구 움직인다면 어떨까요? 영화 안에서나
가능
한 일이라구요? 아니랍니다. 마술처럼 움직이는 그림을 만들어 봐요.1832년 벨기에의 조셉 플레토는 구멍을 뚫은 원판 뒤에 16장의 그림이 그려진 원판을 넣고 돌리는 기구인 ‘페나키스티스코프’를 만들었습니다. ... ...
이전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