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양연구의 중요성 실감"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대단히 높습니다. 해양식품을 만드는 회사가 재벌 규모인 나라는 한국 뿐이라고 합니다.
우주
개발시대라고 하지만 아직까지 인류의 손이 가장 적게 미친 부분이 바다입니다. 그만큼 해양연구 자체가 힘들고 많은 희생을 요구한다고 하겠습니다.전성룡:교과서를 보면 수온약층 같은 내용은 우리나라 ... ...
③ 말은 마음의 구조 밝히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우주
의 보편 원리의 하나로 자리잡게 됐다. 전통적 물리학에서는 물질과 에너지가
우주
의 근본을 형성한다고 봤는데, 여기에 추가해 정보의 역할과 능력이 본격적으로 인식되고 발견되기 시작했다. 마음의 활동 역시 정보가 그 주체라고 볼 수 있다. 마음이 하는 일은 무엇인가? 사물이나 개념을 ... ...
우주
탐색 전선24시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 고개를 들면 밤하늘에는 별들이 반짝인다.● 일반인들이 별을 바라보기란 이렇게 쉬운 일이다.● 하지만 천문학자들이 천체를 관측하는 일은 그 ... 것인지부터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천문학의 현황을 중심으로 천문학자들이
우주
의 비밀을 풀어가는 방법을 알아본다 ... ...
① 빛은
우주
의 비밀 캐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최근 선진국에서는 빛 뿐 아니라 중력파(gravitational wave)나 중성미자(neutrino) 등을 이용한
우주
관측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천문학은 다음 세기에 어떻게 변모할지 아무도 예상하지 못할 정도로 발전하고 있다 ... ...
⑤ 한국천문학의 미래를 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70년대 어렵게 발족되었던 국립천문대는 80년대 들어 한국전자통신연구소 부설 천문
우주
과학연구소로 흡수되었다가 90년대 들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소속의 일개 부서로 전락해버리고 말았다. 보현산천문대의 활성화로 인하여 선조들의 찬란했던 천문학 역사에 부끄럼이 없도록 우리 천문대가 ... ...
러시아 「인공 달」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태양항해가 모두 같은 재료와 원리를 이용한다고 주장했다. 비록 배너의 이번
우주
항해를 통해 태양항해비행 전반에 대해 테스트하기엔 그 기간이 너무 짧고 반사경의 고도가 너무 낮지만 태양항해에 적합한 재료를 선정하는 데는 큰 도움을 주었다. 사실상 그동안 지구 위에서 수행가능했던 ... ...
① 시뮬레이션 어드벤처게임 오름세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비교적 호조를 보이고 있다.역사 시뮬레이션 외에는 F-16기의 활약을 그린 팰콘 3.0과
우주
를 무대로 한 윙코맨더(Wing Commander) Ⅰ, Ⅱ가 비교적 인기를 끈 것으로 알려진다.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에서의 특징으로는 작전 지역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동 등 아직까지 분쟁 가능성이 있는 지역이 단골 ... ...
5. 87㎞돌아 입자를 충돌시키는 SSC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결과가 바로 오늘날의 표준모형이론이라 할 수 있다. 입자가속기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우주
선(cosmicray)에 의한 실험을 통해서 많은 입자들을 발견하였다. 핵내에 여러개의 양성자와 중성자가 있을 경우 전자기적 상호작용으로 생각하면, 같은 전하끼리 서로 밀치므로 핵의 자연 붕괴를 생각할 수 ... ...
6개의 별이 묶여 있는 카스토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의해 처음 두개의 별로 분해됐다.1803년에 월리엄 허셸이 이 두별은 중력으로 묶여있고
우주
공간에서 서로를 돌고 있는 계를 형성한다고 보고했다. 그러니까 카스토르는 물리적 이중성으로 인정된 첫번째 별이고, 우리 태양계 밖이 있는 천체들 가운데 중력 작용을 보여준 첫번째 대상이다.아마추어 ... ...
아마추어 천문가가 NASA의 오류를 지적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미항공
우주
국(NASA)이 발표한 남극의 오존구멍에 관한 자료에 오류가 있다고 한 아마추어 천문가가 지적하고 나서 화제가 되고 있다. 더욱이 NASA의 관계자가 오류를 인정함으로써 이러한 주장은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다.주인공은 텍사스의 한 지방에서 '사이언스 프로브'라는 과학잡지를 만들고 ... ...
이전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