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2월 7일 18시 28분에 오일러를 만난 까닭은? 고등과학원 e day e time을 가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강연에는 수학동아 독자기자단도 함께 했다. 다소 어려운 강연이었음에도, 기자단은 두 교수의 말 하나 하나를 놓치지 않기 위해 집중하는 모습이었다. 조서영 기자(양진중 2)는 “좀 어렵기 했지만, 위상동형을 재밌게 배울 수 있어 좋았다”는 소감을, 황우성 기자(양영중 2)는 “자연상수가 복리 ... ...
- [교과연계수업] 게으름 극복하는 작심 66일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쥐를 관찰했더니, 뇌에서 명령을 내리는 부분인 전두피질이 활성화됐지요. 그레이비엘 교수는 동물이 생각하고 기억으로 저장할 때마다 신경세포들 사이에 *신경전달물질이 지나가면서 기억네트워크를 만든다고 설명했어요. * 신경전달물질 : 신경세포들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물질. 며칠 뒤, ... ...
- 낮은 기온에서 더 활발한 감기 바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더 걸리기 쉽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미국 예일대학교 면역생물학과 아키코 이와사키 교수 연구팀은 각각 다른 온도의 환경에서 바이러스가 얼마나 잘 번식하고 활동하는지 실험했어요. 쥐의 기도에서 상피세포를 떼어내, 하나는 체온과 비슷한 약 37℃에서 배양시키고, 다른 하나는 그보다 낮은 ... ...
- 色시한 과학 色시한 라이프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느끼는 조명, 맛있는 음식색이 모두 다른 거죠. 그래서 곽영신 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를 비롯한 많은 색채과학자들이 이들을 위한 색처리기술을 연구 중입니다. 곧 누구나 色시해질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아드님이 싹수가 보입니다. 훌륭한 색채과학자의 자질이 보인다는 말입니다. ... ...
- [과학뉴스] 황우석․미탈리포프, 중국과 손잡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규제가 허술한 중국 시장을 염두에 두고 공동연구에 나선 것으로 분석했다. 미탈리포프 교수는 2009년 일명 ‘세 부모 수정’을 원숭이를 대상으로 처음으로 성공시켰다.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가진 난자에서 미토콘드리아를 제거한 뒤, 정상인 제3자의 미토콘드리아를 넣어 체외 수정을 하는 ... ...
- [Info] 지리산에 과학 단비가 내리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결정하겠다고 말했다.기자가 다니던 대학에는 수억 원짜리 최신 현미경과 최고 수준의 교수들과 최신 논문이 있었다. 그럼에도 지리산의 학생들처럼 과학을 좋아한 것 같지는 않다. 취재를 하면서 과학 불모지나 다름없는 지리산에서 과학의 꿈을 피운 후배들이 대견했다. 더 열심히 기사를 ... ...
- [Life & Tech] 트랜스포머 엘리베이터가 온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수 있게 할 겁니다.”앞으로 또 어떤 새로운 승강기가 개발될까. 고영준 한국 승강기대 교수는 “사물인터넷이 화두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자동차와 아파트 정문, 승강기가 연동된다고 생각해보세요. 자동차가 들어오는 걸 정문이 감지하고 승강기에 신호를 주는 거죠. 사람이 지하주차장에 ... ...
- [Knowledge]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서양 학문을 천 년 넘게 지배한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물체에게는 저마다 ‘자연스러운’ 위치가 있고, 방해만 받지 않는다면 모든 물체는 자신의 자연스러운 위치를 향해 움직인다고 설명했다. 오늘날 우리는 이설명이 과학적이지 않다는 것을 안다. 땅바닥이 ‘왜’ 사과의 자연스러운 위치인 ... ...
- 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3D 프린팅 기술은 지금도 혁신을 거듭하는 중이다. 양동열 교수는 “기억소재 같은 새로운 재료들이 3D 프린팅에 쓰이는 추세”라며 “한번 만들어진 뒤 시간이나 환경조건에 맞게 모양이 변하는 물체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가 말한 기술은 바로 2013년 세상에 처음 ... ...
- PART1. 고교생 100명이 묻고, 공대생이 답하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이런 경우 졸업 전에 미리 해당 연구실의 교수님 밑에서 인턴으로 일을 하죠. _주은진번외질문 공대생끼리 서로를 알아보는 방법이 있나요?물론 있습니다. 왠지 모를 ‘추레함’이랄까요. 말로 설명이 어렵지만 민간인(?)들도 쉽게 공대생을 알아보는 걸로 ... ...
이전5965975985996006016026036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