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r’s"(으)로 총 1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다른 사람의 불행에서 안도감을 느끼는 심리2021.01.30
- 타인의 불행을 떠올리고 타인을 위로하는 게 아니라 결국 ‘나’를 위로한다는 점에서 지나치게 자기중심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픽사베이 제공 일반적으로 자신보다 상황이 나은 사람과의 상향비교는 좌절과 우울함 같은 부정적 정서를 불러오는 반면, 자신보다 상황이 더 나쁜 사람과의 하향 ...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바이러스 변이체 위협적인가? 2021.01.12
- 돌연변이는 모든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자연현상 팬데믹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대부분 RNA 바이러스이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인플루엔자, 에이즈 바이러스 등이 이에 속한다. DNA 중합 효소와는 달리 RNA 중합 효소(RNA 중합효소는 DNA 혹은 RNA 주형으로 RNA를 합성하며, DNA 중합효소는 DNA를 주형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고통과 시련을 통해 성장하는 것은 '나' 보다 '우리'2021.01.02
- 픽사베이 제공 사람들에게 살면서 후회가 심한 일들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묻는다. 그러면 다양한 영역들이 등장하는데 특히 일 관련(커리어, 성취), 여가활동, 인간관계(연인, 친구, 가족) 등에 관한 후회들이 두드러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사람들에게 ‘가장’ 심하게 후회되는 일이 무엇인 ... ...
- 영국 변이 코로나바이러스 지금까지 알아낸 것과 아직 모르는 것동아사이언스 l2020.12.28
- 확인된 건 전파력 70% 빠르다는 게 전부 백신은 다클론항체 방식…효과 유지될 것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게놈(유전체)을 분석해 변이를 추적하는 국제과학프로젝트인 ‘넥스트스트레인’. 이를 통해 올해 전 세계에 퍼진 사스코로나바이러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의 정체가 드러나다2020.12.24
- DNA 이중나선 모델. 사이언스뮤지엄그룹(sciencemuseumgroup.org.uk) 제공 1877년 프레더릭 그리피스와 같은 해에 태어난 오즈월드 에이버리가 그리피스의 폐렴구균 형질전환 소식을 들은 것은 그의 나이 56세이던 1933년이었다. 20세기 초반에는 물리학이든 생물학이든 대체로 젊은 과학자들이 눈부신 성과를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을 발견하기까지2020.12.10
- 인간의 다양한 염색체의 모습을 보여주는 핵형 사진이다. 미국 연구팀이 이 가운데 X염색체의 염기서열을 끝에서 끝까지 결손 구간 없이 대부분 해독하는 데 성공했다. 네이처 논문 캡쳐 1900년 극적으로 멘델의 유전법칙이 재발견되기는 했지만 유전을 담당하는 물질의 정체에 대해서는 여전히 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뉴 노멀'에 적응하기 위해 2020.11.28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2020년은 다른 어떤 해보다 힘든 한 해였다. 한국 뿐 아니라 전세계가 팬데믹으로 인해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큰 고통을 겪었다. 미국인들의 경우 10명 중 7명이 팬데믹을 올 한 해 중 가장 힘들고 큰 스트레스를 주었던 일로 꼽았다는 조사 결과가 있었다. 다른 나라 사람들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잠이 최고의 보약2020.11.14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남편은 수면 천재다. 배개에 머리를 붙였다 하면 3초 만에 깊은 잠에 빠지는 신통방통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장거리 비행기 안에서도 잠을 잘 자지 못해서 내리 열몇시간을 고통받는 나와 달리 앉아서 안전벨트를 착용하면 바로 깊은 잠에 빠져든다. 식사 때는 용케 깼다가 먹 ... ...
- "빠른 정보제공과 공공행사 제한이 재유행 가장 효과적으로 막는 정책"동아사이언스 l2020.11.10
- 조성일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가 이달 9일 열린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와 대한민국의학한림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공동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 과총 유튜브 캡처 정보를 빠르게 제공하고 공공행사를 제한하는 정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을 가장 효과적으로 막을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요거트와 노벨상2020.10.22
- 올해 노벨화학상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작동 원리를 최초로 규명한 두 명의 과학자에게 수여되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이미 십여년 전부터 노벨상 수상이 당연하게 생각되던 분야였을 정도로, 생명과학의 판도를 바꾼 발견이다. 복잡한 분자적 기제를 제외하고 설명하자면, 크리스퍼 유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