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피
스페셜
"
혈액
"(으)로 총 53건 검색되었습니다.
[짭쪼롬 헬시가족 2화] 정간장 · 유별라 부부의 건강검진
건강 in
l
2013.06.19
담당자가 꼬치꼬치 물었다. 소변검사를 할 때 ‘내 소변은 왜 이리 거품이 많이 나죠? '
혈액
검사를 할 때도 ‘내 피는 왜 이렇게 진하죠?’ 세세한 것까지 물었다. 담당 검사자가 얼굴을 찌푸릴 정도다. 꾸역꾸역 넘어오는 고통을 참으며 위내시경 검사를 받으면서 모니터 상으로 위가 깨끗하다는 ... ...
한국인 치매 예측 뇌지도 구축' 및 치매 조기진단 서비스 실시
동아사이언스
l
2013.06.14
뇌영상(MRI 및 PET)을 활용한 ‘한국인 표준 치매 예측 뇌지도 구축(60대-80대)’과 체액(
혈액
및 유전체) 기반 치매 조기진단 바이오마커를 발굴하는 사업으로 ‘13년부터 관련 연구가 착수될 계획이다. 또한, 한국뇌연구원 등을 통해 대규모 뇌융합연구 및 사회이슈 해결형 연구 등을 토대로 3대폭력 ... ...
'간'에서의 혈당 조절 기작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3.06.10
조절할 수 있다.o 이는 당뇨병을 치료하는 근원적인 방법으로 순환계 혈관으로 가는
혈액
내 혈당을 줄여 심각한 합병증의 원인이 되는 심혈관 및 말초신경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한국과학기술원 김학성 교수는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GKRP에 의한 GK 활성 조절 기작은 새로운 ... ...
에탄올성 치매에 효과적인 천연물질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neurons)’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연구단은 본 논문에서 부작용이 없으며
혈액
-뇌 장벽 통과가 용이한 고기능성 천연 추출물인 안토시아닌(안토시아닌 : 꽃, 과일, 잎 등의 색을 나타내는 수용성 색소의 일종)을 이용, 에탄올성 치매를 효과적으로 치료 및 개선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 ...
면역 단백질의 신호전달에 의한 패혈증 기작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살아있는 반면 NOD2가 존재하는 정상생쥐는 이틀 내에 사망했다. 연구팀은 NOD2가
혈액
응고와 관련된 염증성 물질 C5a의 생성을 촉진하여 패혈증을 악화시키는 것을 밝혀냈다. 패혈증이 유도된 생쥐의 면역세포인 호중구(好中球)(호중구(neutrophil) : 백혈구의 일종으로 침입한 이물질이나 세균을 ... ...
과학수사도 ‘콘트롤 타워’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3.31
과학경찰연구소가 별도 기관으로 존재하고, 싱가폴도 법과학센터가 식품의약품안전청,
혈액
공급기관과 함께 응용과학부에 소속돼 있다. 최근에는 중국도 3만 여 명의 연구원을 둔 국가수준의 세계 최대 규모 연구 인프라를 구축 중이다. 반면 국내에는 본격적인 법과학 전문 연구기관이 사실상 ... ...
“순수 과학자 위한 ‘안정된 직장’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2.07.04
에서 2007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하버드 의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는 그는
혈액
에서 분리한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해 혈관 생성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피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생기는 ‘허혈성 질환’의 세포치료법을 개발하고 있다. ●해외 우수 인재, 한국 채용길 열려야… IBS 정책 기대 ... ...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7.03
지적했다. 그는 “미국은 의사가 모든 것을 관리하지 않고 환자의 병력과 부작용부터
혈액
채취, DNA 등 전부 다 관리를 하는 사람이 따로 있어 임상연구하기 좋은 환경”이라며 “아시아 국가가 공동으로 임상샘플을 모는 등 정책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으로 임상 연구를 할 수 있는 ... ...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1.12.13
액체질소탱크 69대와 영하 70도로 유지되는 초저온 냉동고 79대를 보유하고 있어
혈액
자원 보관시설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다른 인체자원과 협력해 내년 까지 20만 건 이상의 인체자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김 교수는 “바이오뱅크 사업을 활성화 시키려면 인체자원을 모두 통합해 관리하고 함께 ... ...
“BT 기초연구 튼튼해야 상용화도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8.10
교수가 통증연구에 관심을 갖게 된 건 1983년 미국 오클라호마대에서 박사과정을 할 때다.
혈액
에 있는 불순물을 소변으로 배출하는 신장에 결석이 생겨 큰 고생을 겪으면서 통증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실감했던 것. 그는 “진통제로 모르핀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구토·발열 뿐 아니라 금단현상까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