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위
학사
논문
스페셜
"
학위
"(으)로 총 56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을되면 신종 플루 변종 나올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했다. 김정은 부사장은 일본 도쿄대에서 석사과정까지 마친 뒤, 미국 오리건대에서 박사
학위
를 받았다. 다국적 제약회사인 브리스톨 마이어를 거쳐 1994년 길리어드로 자리를 옮겼다. 타미플루는 그가 길리어드로 자리를 옮긴 후 개발한 첫 연구 성과다. 현재 타미플루는 미국 로쉬사에서 생산과 ... ...
“바이오 인재 양성은 학교책임? 산학연 모두의 몫!”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대학원 과정을 신설했다. 생명연에 가서 직접 훈련을 받은 뒤 학교로 와서 논문을 쓰고
학위
를 받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수많은 정책들이 바이오 분야의 인재 양성을 강조했지만 제대로 된 실천방안은 내놓지 못했습니다. 저희 대학이 산학연 협력을 통해 바이오 분야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 ...
“순수 과학자 위한 ‘안정된 직장’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2.07.04
서울대 약대를 거쳐 조지아보건과학대(Georgia Health Sciences University)에서 2007년 박사
학위
를 받았다. 현재 하버드 의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는 그는 혈액에서 분리한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해 혈관 생성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피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생기는 ‘허혈성 질환’의 세포치료법을 ... ...
“구슬도 꿰어야 보배…바이오 인재도 마찬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2.07.02
도움을 줬다. 반면 미국에 머무는 한인 박사
학위
자는 이제 40% 정도다. 다행스러운 건 박사
학위
자 체류가 점점 늘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에 있는 인재를 국내로 불러들이기 위한 ‘잠재적인 풀(pool)’로만 생각하지 말고, 더 넓은 시각에서 한민족 네트워크를 강화했으면 좋겠다. ▽고종성 박사=미국 ... ...
“‘원숭이’가 우리를 살릴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1.24
이상준 소장(57·사진)은 원래 의약품 분야 ‘사업화 전문가’다. 중앙대에서 약학대 박사
학위
를 받은 후 종근당 기술본부장, 코오롱생명과학 사업총괄부장을 거쳤다. 이 소장은 17일 오후 연구소 내 원장실에서 동아사이언스와의 언론 인터뷰를 가졌다. 기업 출신 전문가이니 ‘연구소의 수익사업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8
소개하며 한국 정부가 참고할 만한 생명공학(BT) 정책을 제시했다. 고려대에서 2007년 박사
학위
를 받은 박 회장은 현재 하버드대 의대에서 비만과 당뇨의 연관성을 밝히는 연구를 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이 분야 권위지인 ‘네이처 메디신’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연이어 논문을 ... ...
정부 R&D, ‘High Risk, High Return’에 집중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3.22
연구 중심의 벤처 기업이다. 전 직원 65명 중 52명(80%)이 연구 인력이며, 이 중 박사
학위
소지자가 23명이다. 단백질 구조에 기반한 신약 분야 연구진으로는 대기업까지 통틀어 국내 최대 규모다. 또 연간 매출의 3배 규모인 약 100억원을 매해 R&D에 투자하고 있다. ● “연구역량·미래가치 기준으로 ... ...
일률적인 연구평가방식 맞춤형으로 바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10.06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 책임연구원은 미국 볼링그린주립대에서 생물학으로 박사
학위
를 받았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박사후연구원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와 충남대에서 겸임교수를 맡고 있다. ● 연구 성격 고려해 평가해야 고등학생이 수학능력시험 점수로 대학에 들어가듯 연구결과 ... ...
합성세포 창조한 비결… “황당한 주제 당연하게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0.06.21
생물과학으로 학사를, 서던 캘리포니아대에서 암 발생 메커니즘을 연구해 박사
학위
를 받았다. 2004년 12월 연구소에 합류한 이래 합성게놈 연구를 진행해 왔다. 그는 효모를 이용해 합성게놈을 조립하는 기술을 개발해 합성세포를 만드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 ...
“여성 연구 인력 많아야 멋진 기업”
동아사이언스
l
2009.10.29
과학계 리더로 키우자! ○ 기업에서 여성 연구 인력 채용을 늘리자. ○ 박사
학위
끝낸 여성 인력 적극적으로 활용하자. 김은경 교수는 1982년 연세대 화학과 학사 1984년 서울대 화학과 석사 1990년 미국 휴스톤대 화학 박사 1992년~2004년 한국화학연구원 연구원 2006년~2008년 한국과학재단 선임직 이사 200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