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켜"(으)로 총 55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유전학, 빛으로 뇌의 비밀 풀고 새로운 치료법 찾는다IBS l2016.09.01
- 초소형 LED와 원통 모양의 미세한 관을 결합해 머리카락보다 가는 장치를 만들어, LED를 켜 빛을 비추면 도파민이 분비돼 쥐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 기술은 장차 알츠하이머, 뇌전증 등 뇌 질환 치료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광유전학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임상시험 ... ...
- 유전자 하나만 꺼도 무더위 못 느낀다2016.08.22
- 세포체들이 모여 있는 부위인 배근신경절에서 얻은 뉴런(신경세포)을 여러 온도에 노출시켜 활성을 관찰했다. 그 결과 뉴런의 10% 정도가 34~42도 범위에서 반응하면서도 기존의 열센서는 갖고 있지 않았다. 즉 다른 열센서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다. 이들 뉴런의 유전자 발현 패턴을 조사한 ... ...
- [HISTORY]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KISTI l2015.11.14
- 꺼지면서 순식간에 암흑의 도가니가 됐다. 웅성거리던 시간도 잠시, 이윽고 전원이 켜지고 불이 들어오자 눈에 들어오는 것은 전기과 회장이 단상에 올라가 멋지게 두 손을 들고 있는 모습이었다. 아무리 많은 기술이 있어도 전기가 없으면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는 일종의 퍼포먼스였을까. 믿거나 ... ...
- ['고리 1호기' 특집 (1)] 한수원 김현준 안전점검 차장 “고리 1호기에 바친 땀과 열정"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23
- 13일 오후 14시 57분 05초 현재 원자로 출력 99.846%, 발전기 출력 603MW라는 계기판이 중앙에 켜져 있다. 정지신호 20여 개 중 단 1개라도 불이 들어오면 제어봉이 자유낙하, 연소가 중지된다는 설명. 15시경 터빈실 점검을 마치고 주제어실로 들어서는 김현준 씨(38세). 고리 1호기에 연료를 장전하던 77년에 ... ...
- [LIGHT] 꿀잠을 위한 간단 팁, 깜깜하게 자라!KISTI l2015.07.14
- 내보내는데, 주로 밤 11시~새벽 1시에 분비된다. 그런데 이 시간에 자면서도 불을 켜놓으면 송과샘은 빛을 인지해 멜라토닌을 분비하지 않는다. 실제로는 밤이지만 몸은 여전히 낮이라고 인지하는 것이다. 잠을 자도 잔 것 같지도 않고 계속 피곤한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멜라토닌이 분비되지 ...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2015.06.08
- 않았음에도 몸이 얼어붙었다. 쥐의 마음에 들어갈 수는 없지만 머릿속에서 파란빛이 켜졌을 때 쥐들은 어찌 된 영문인지 감전의 기억이 떠올랐을 것이다. 전기충격으로 공포 경험을 하면 해마의 치상회에 기억흔적(엔그램) 세포가 형성된다(왼쪽). 단백질 합성을 억제해 기억공고화를 방해하는 ... ...
- 사물과 사물이 소통한다, 사물인터넷! KISTI l2015.03.17
- 약병은 환자가 약을 복용할 시간을 알려준다. 약을 먹을 시간에 약병 뚜껑의 램프가 켜지고 소리도 난다. 환자가 약병을 열면 센서가 감지해 인터넷으로 환자가 약을 복용했다는 정보를 병원에 보내준다. 이 서비스를 사물 인터넷으로 보는 이유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한 단계 더 앞서갔기 ... ...
- [Keyword로 읽는 과학] 더 큰 자극에만 반응하는 ‘팝콘 브레인’KISTI l2014.05.26
- 관심을 끌지 못한다. 새로운 소식이 뜨지 않았나 10분이 멀다 하고 스마트폰 화면을 켜보면서도 방 청소나 설거지 같은 살림살이는 뒤로 미루기 일쑤라면 팝콘 브레인을 의심할 만하다. 급한 업무를 처리할 때도 아닌데 여기저기 문자 메시지를 보내고 인터넷 접속을 반복하는 것도 전형적인 ... ...
- [keyword로 읽는 과학]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르게, 라이파이KISTI l2014.01.16
- 초행길이라면 길을 잃기 쉬운데 실내에는 GPS도 잘 작동하지 않는다. 이럴 때 곳곳에 켜져 있는 조명으로부터 디지털 정보를 내려받아 위치를 찾거나 필요한 파일을 내려 받을 수 있다. 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LED통신연구실은 자동차나 항공기의 안전운행을 돕는 기술, 시각장애인을 돕는 기술 등 ... ...
- 도청의 세계② 창과 방패로 얽힌 도청·방지기술KISTI l2014.01.09
- 특히 방안의 음악 소리를 높이거나 100데시벨(dB) 가까운 소리를 내는 소음발생기를 켜놓으면 음성 도청에 대한 우려는 웬만큼 해결할 수 있다. 1km가 넘는 원거리에서 레이저를 발사해 음파를 잡아내는 도청도 있다. 이 때문에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해외 순방 중 민감한 이야기를 나눌 때는 원격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