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압력
전력
볼트
볼트수
voltage
스페셜
"
전압
"(으)로 총 92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 원자에서 소재의 본질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9
소재 이미징 연구에는 기본적으로 투과전자현미경이 활용된다. 투과전자현미경은 고
전압
의 전자빔을 물질에 투과시켜 내부 구조를 수십만 배 이상 확대해 관찰할 수 있는 첨단 장비다.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분해능을 가지고 있어 원자 수준에서 정교하게 관측할 수 있다. 연구팀은 ... ...
“한국 배터리 산업은 ‘불안한 1등’ 자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지적했다. BMS는 전기자동차에 탑재되는 수백~수천 개의 배터리 셀에서 온도,
전압
, 충전량 등을 모니터링하고 전송해 배터리 상태를 관리하는 기술이다.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이를 지능적으로 관리하는 지능형 BMS가 최근 전기차 업계의 화두로 떠올랐다. 배터리 산업은 2050년 탄소중립 ... ...
제1회 현우 KAIST 학술상에 백무현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5.24
부여하는 방법이 유일하다고 알려져 왔다. 백 교수는 분자를 전극에 공유결합하고
전압
을 적용해도 같은 유도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발견했다. 전기적 유도 효과를 거대 규모 화학 합성에 적용하면 여러 화학반응에 필요한 분자나 촉매를 준비하는 복잡한 과정이 사라질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백 ... ...
[표지로 읽는 과학] 미래 반도체 물질 ‘강유전체’ 구조 특성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7
없어도 전기 편극을 지닐 수 있는 특이한 물리적 성질을 가진 물질이다. 외부에서
전압
을 걸지 않아도 스스로 양과 음의 전기분극 현상이 일어나 차세대 메모리 연구가 활발하다. 스커미온은 소용돌이 모양으로 배열된 나노 스핀 현상을 보이는 구조체를 말한다. 개별 스커미온은 고유의 ... ...
아이들 건전지 삼킴사고 막으려면 리모컨 테이프로 감아두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1.03.29
2%) 다음으로 많은 사례였다. 리튬 건전지는 같은 동전 건전지인 알카라인 건전지에 비해
전압
이 2배로 높아 아이의 장기에 손상을 가하기 쉽다. 실제 리튬 건전지를 삼킨 한 영유아 환자의 경우, 식도 위쪽 괄약근에 리튬 건전지가 박혔다. 삼킨 지 2시간 이내에 리튬 건전지를 제거했으나 출혈이 ... ...
[표지로 읽는 과학]상용 태양전지 한 걸음 다가선 페로브스카이트
동아사이언스
l
2021.02.27
합성했다. 빛을 더 잘 흡수하면 전자의 흐름이 늘어나 전류가 높아진다. 결국 전지
전압
과 전류를 높여 전지의 효율을 크게 높인 것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재는 가로세로 약 3.1mm 면적인 0.1㎠ 소자에서 25.2%의 효율을 달성했다. 이는 이론 효율의 80.5%에 달한 것이다. ... ...
한국, 차세대 태양광 페로브스카이트 공식 비공식 최고효율 기록 획득
동아사이언스
l
2021.02.25
합성했다. 전지가 빛을 더욱 흡수하면 흐를 수 있는 전자가 많아져 전류가 높아진다.
전압
과 전류가 높아지면 전지의 효율이 높아진다. 연구팀이 개발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재는 가로세로 약 3.1mm 면적인 0.1㎠ 소자에서 25.2%의 효율을 달성했다. 1㎠ 소자에서는 23%의 효율을 기록해 ... ...
[소재의 미래_마지막 이야기]"소재 혁명은 학문의 경계서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장치로, 전력은 전류와
전압
의 곱이다. 모든 파장의 빛을 흡수하면 전류는 커지지만
전압
은 작아지기 때문에 전력을 최대로 하는 파장만 선택적으로 흡수해야 성능이 좋다. 박 교수는 원하는 성질을 가진 분자를 만들려면 데이터가 많아야 하고 시행착오를 줄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 ...
[프리미엄 리포트]왜 애플카에 열광할까
과학동아
l
2021.02.13
액체 전해질 기반 리튬이온전지 기술로는 하나의 전지로 전기차 모터를 구동할 수백V
전압
을 구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과학동아DB 테슬라는 지난해 9월 테슬라가 새로 개발한 ‘탭리스 배터리’ 계획을 발표했다. 탭리스 배터리는 전원 공급 장치와 배터리를 연결하는 ‘탭’을 제거해 ... ...
[소재의 미래]⑿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 세계에서 연금술 같은 소재혁명이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3
기술이다. 이 기술은 기본적으로 투과전자현미경을 활용한다. 투과전자현미경은 고
전압
의 전자빔을 물질에 투과시켜 내부 구조를 수십만 배 이상 확대해 관찰할 수 있는 첨단 장비다.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분해능을 가지고 있어 원자 수준에서 정교하게 관측할 수 있다. 연구팀은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